커버 글라스 회전, 기존 기술한계 극복상용화 시 자율주행 기술 활용 기대
  • ▲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현대자동차그룹
    ▲ 현대차·기아가 공개한 로테이터캠 작동 과정 ⓒ현대자동차그룹
    현대차·기아는 카메라 센서에 묻은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로테이터캠’ 기술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가장 많이 적용되고 있는 기술은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우천 시에는 잔존 워셔액이나 빗방울이 렌즈 표면에 뭉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전동식 와이퍼 블레이드도 와이퍼가 센서의 시야를 가릴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로테이터캠 기술은 현대차·기아가 개발 중인 센서 클리닝 기술 중 하나다. 먼지와 진흙은 물론 물방울까지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해당 기술은 카메라 렌즈 덮개인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는 방식에 착안해 센서의 시야를 가리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세정할 수 있게 했다. 주요 구성품으로는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동모터와 커버 글라스 하단부에 위치한 워셔액 공급장치, 고정형 와이퍼 블레이드 등이 있다.

    작동 방식은 이미지 분석 AI가 오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워셔액 공급장치가 작동된다. 동시에 모터에 의해 커버 글라스가 회전하면서 오염 물질은 소형 와이퍼에 걸러지게 되고 선명한 영상 전송이 가능해진다. 레인 센서를 통해 우천 상황을 감지하면 워셔액 분사 과정을 생략하며 물방울이 번지는 현상도 최소화한다.

    로테이터캠은 와이퍼 블레이드와 워셔 노즐이 일체형으로 설계돼 오염 제거 성능이 우수하며, 워셔액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막고 사용량을 최적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커버 글라스를 활용한 센서 클리닝 기술이 공통적으로 내부에 습기가 차는 문제를 갖는 데 비해 로테이터캠 기술은 커버 글라스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내부 프로펠러 날개로 바람을 일으켜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해당 기술이 상용화되면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노즐 부품 기반의 클리닝 기술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현재 현대차·기아는 로테이터캠의 면밀한 검증을 위해 실제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가정해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완료했으며, 내구성과 성능 테스트를 거친 뒤 양산 여부를 검토할 계획이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센서 클리닝 기술은 자율주행 기술을 앞당기기 위한 핵심 요소”라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미래 모빌리티 기반의 편의기술 개발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