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베트남을 필두로 동남아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은 롯데그룹의 중국을 대체하는 ‘아시아 핵심 거점’으로 떠오르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25일 재계에 따르
한국전력 사장직이 '마지막 공직'이 될 것이라고 밝힌 김동철 한전 사장이 사무실에서 떠나지 않고 숙식하며 24시간 현안을 직접 챙기는 등 초강수를 뒀다. 추석 연휴는 물론 휴일까지 다 반납한다는 각오다.22일 한전에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포스코인터내셔널의 글로벌 도약 및 친환경 사업 선도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포스코인터내셔널과 포스코에너지를 합병시키면서 상사를 넘어 새로운 모멘텀 확보의 기반을 마련하도록 했기 때문이다.
포스코가 철강 중심에서 이차전지 소재기업으로 도약한 데는 최정우 회장의 리더십이 주효했다. 최 회장의 과감한 투자 결단과 기업시민 경영이념 경영 철학이 뒷받침됐다는 평가다. 이차전지 열풍의 중심에 있는 포스코는 탄탄
한국전력공사는 18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임시 주주총회를 열고 김동철 전 국회의원을 제22대 사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김 신임 사장은 요식 절차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제청과 대통령 임명을 거쳐 3년간의 임기를 시작
한 때 퇴진론에 시달렸던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임기를 완주할 것으로 전망된다. 최 회장이 지난해 추진한 지주사 개편이 경영성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차전지 등 미래 먹거리 확보로 지속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했기
HD현대가 사우디아라비아 네옴시티 수주 대열에 합류하며 시장에서 존재감을 확대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정기선 HD현대 사장이 있다. 정 사장은 사우디와 돈독한 관계를 토대로 현지에서 다양한 사업기회를 만들며 ‘제2의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이 재임 기간 기업의 시가총액을 가장 많이 끌어올린 CEO로 나타났다.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에 따르면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상장사를 대상으로 CEO 393명의 재임기간 중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 매각전이 '새우 싸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탄탄한 자금력을 갖춘 '메기'가 부재한 상황서 자금조달 능력이 부족한 기업들이 인수전에 나선 만큼 연내 매각 가능성에 대한 의심의 눈초리가 커지
구광모 ㈜LG 대표가 21일(현지시간)부터 나흘 동안 미국 보스턴과 캐나다 토론토를 방문해 바이오와 인공지능(AI) 분야의 미래준비 현황과 육성 전략을 점검하고, 미래 사업 분야의 시장 트렌드를 살폈다.&
류진 풍산그룹 회장이 한국경제인협회(옛 전국경제인연합회) 수장으로 추대되면서 과거 정경유착 논란에서 벗어나 혁신을 이끌게 됐다. 또한 류 회장이 재계 전면에 나서게 되면서 풍산그룹의 새로운 도약을 주도할 수 있을지도
"일하는 방법과 소통하는 방식까지 리인벤트(재창조)함으로써 새로운 LG전자를 만들어 나가겠다."지난달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조주완 사장이 강조한 부분이다.&n
강한승 쿠팡 대표는 최근 유통업계에서 가장 관심을 끄는 인사 중 하나다. 판사 출신의 CEO가 이커머스 시장의 공룡으로 성장한 쿠팡의 대표이사를 맡아 창사 이래 첫 연간 흑자전환을 목전에 뒀기 때문이다. 이
조현준 효성그룹 회장의 뚝심 있는 기술경영이 하반기 빛을 발할 전망이다.4일 재계에 따르면 효성그룹은 효성티앤씨, 효성첨단소재, 효성화학 등 '소재 3총사'의 실적 부진으로 고전을 겪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