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구조 속 11년간 약 43조손실... "지배적 사업자 관련 정부 규제 필요"
-
박추환 영남대학교 경제금융학부교수는 24일 기자들과 만나 10년 넘게 이어져 온 이동통신 1위 사업자의 50% 점유율 유지로 인해 수 십억원의 시장손실이 발생했다고 주장했다. SK텔레콤·KT·LG유플러스의 시장점유율은 각각 50%, 30%, 20%로 십여 년 동안 이 같은 구조가 유지돼 왔다.박 교수는 시장지배적 사업자가 존재하는 우리나라 이동통신 시장에서 시장지배력이 사회후생손실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
그는 "현재의 5:3:2 구조가 완화되고 경쟁이 활성화 되면 어떨까 하는 생각에 연구를 시작했다"며 "2002년부터 지난해까지 11년간 공시로 뜬 자료들을 바탕으로 분석했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다음달부터 학회, 세미나 등에서 이번 연구를 발표할 계획이다. 8월에는 정식 논문으로 게재할 예정이다.박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시장집중도가 높을 수록 사회후생손실 규모가 늘어나는 것은 물론 11년 간의 5:3:2 시장구조로 인해 약 43조원의 시장손실이 발생했다.그는 "현재의 5:3:2 구조는 2002년 SK텔레콤이 신세기 통신을 합병하면서 부터 시작됐다"면서 당시 SK텔레콤은 황금주파수라 불리는 800MHz를 할당받아 수 년간 독점 사용하면서 경쟁사들과 출발선이 달랐다"고 지적했다. 또 "고착화된 이동통신 시장이 깨지고 경쟁이 활성화 된다면 시장손실이 줄고 소비자 잉여가 증가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박 교수는 "5:3:2 구조가 2002년부터 11년간 지속되면서 42조8073억원의 시장손실이 발생했다"며 "연간 약 3조 2000억원의 손실이 감소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4.5:3:2.5 구조나 3:3:3 구조 였다면 지금보다 7조6238억원, 11조 7876억원의 시장손실을 줄일 수 있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의 고착화 되고 집중화 된 구조 속에서 발생하는 막대한 시장손실은 결국 소비자에게 전가된다"고 지적했다.또한 박 교수는 "시장집중도가 높다는 것은 1위 사업자의 지배력이 높다는 것을 말한다"며 "지배력이 높을 수록 지배적 사업자는 요금 인하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 후생을 저해하는 5:3:2 시장구조를 깨기 위해 지배력 사업자의 시장 남용을 제재할 수 방안을 일관성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그 일환으로 박 교수는 요금 인가제가 아직은 더 유지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5:3:2라는 왜곡된 구조 속에서 이동통신 시장을 활성화 시키려면 요금 인가제가 있어야 지배력 남용에 대한 제재가 가능하다"고 말했다.마지막으로 박 교수는 통신사들의 보조금 경쟁의 이유에 대해 "정부의 무조건 적인 통신비 인하 정책도 영향을 미쳤다"며 "각 사업자들이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해 보조금을 활용하고 있다"고 비판했다.박 교수는 "사업자들이 정부로 부터 통신요금 인하에 대한 압력을 받는 한 수익성 개선보다 현재의 구조를 이어가려고 할 것"이라며 "정부가 수익이 나면 바로 통신비를 인하할 수 있지 않겠냐고 주장하니 사업자들은 수익성 개선보다 외형 성장을 통한 순간의 현금 확보 전략을 사용하려 한다"고 말했다. 이어 "지배력 사업자는 선점적인 지위를 갖고 있기 때문에 보조금으로 후발사업자에게 더 많은 피해를 양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이를 위해 박 교수는 "정부가 산업을 활성화 시키고 수익성을 개선 시킬 수 있는 정책에 포커스를 맞춘다면 사업자들 스스로 보조금을 통한 외형적 성장 보다 내실을 추구하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