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U KT가 할당받은 2.1GHz 대역에 대항하는 IMT-DS기술 방식에 LTE도 포함
-
다른 이통통신 주파수 대역은 2G 또는 3G 이상으로 기술방식이 지정돼 진화기술 수용이 가능했다. 하지만 3G로 이용중인 2.1㎓대역은 유일하게 비동기식기술(IMT-DS)로 한정돼 기술방식 변경없이 LTE 적용이 가능한지 여부가 불분명한 상황이었다. IMT-DS에는 LTE 방식이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이다.이에 미래부는 지난 3월부터 학계․산업계․연구기관 등으로 연구반을 구성하고 검토에 착수했다. 기술방식 부합 여부와 이용자 편익 및 효율적 주파수 이용, 경쟁에 미치는 영향, 해외사례 등 다각적 측면에서 검토, 3G 대역 일부를 LTE로 사용할 수 다고 판단했다.2001년 2.1㎓ 주파수 할당 공고 시 2.1㎓ 대역은 IMT-DS로 규정됐었다. 즉 3G 방식까지만 사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ITU에서 LTE를 IMT-DS 진화 기술로 포함하면서 앞으로 해당 대역에서 LTE를 적용할 수 있게 됐다.또한 미래부는 유럽이 2012년 정책결정을 통해 모든 회원국에게 지난 6월까지 2.1㎓대역에서 LTE서비스 허용을 의무화한 것도 고려했다. 일본, 미국 등 해외 주요국가도 기술진화 촉진과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을 위해 이동통신 표준내에서 사업자가 자율적으로 기술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 상황이다.따라서 KT는 현재 3G 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2.1㎓ 대역 20MHz 폭 중 절반을 LTE 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이동통신 사업자에게 3G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보호대책을 마련해야 한다.KT 관계자는 "LTE 이용자들을 위해 정부에서 효율적인 결정을 내린 것"이라며 "현재 3G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데다 데이터 사용량도 줄고 있는 만큼 기존 3G 가입자에게 불편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허원석 미래부 주파수정책과장은 "유일하게 기술방식이 제한적이던 2.1㎓대역의 규제완화를 통해 보다 효율적인 주파수 이용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 개선과 이동통신시장의 경쟁 활성화로 이용자 편익이 증대될 것"이라며 "희소 주파수 자원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고 사업자들의 네트워크 구축 및 서비스 경쟁촉진과 투자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