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이쯤되면 그린북 대신 차라리 그레이북으로 불러야 되지 않을까 싶다"

    매달 기획재정부가 발행하는 월간 경제동향보고서를 받아든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의 촌평이다.


    11일 기재부는 10월 경제동향을 담은 그린북을 발간했다. 예상대로 잿빛 일색이다. 주요 골자는 "경기회복 모멘텀 약화, 대외불확실성 확대" 였다.

     

    10월에도 "저물가가 지속되고 생산이 감소해 경기회복 모멘텀이 미약한 어려운 국면'이라고 했다. 9월에는 "내수침체·대외 리스크가 여전하고 경기 회복세가 미약한 수준"이라고 했다. 7월과 8월에도 "경기회복세가 부진하다"고 했고 6월에는 "회복흐름이 더디다"고 했다.

     

    늘 세월호가 발목을 잡는다는 식이었고 귀결은 "대내외 경제동향과 시장상황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는 한편 대외적 충격에 대한 선제적 시장안정 노력과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겠다"였다.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하지만 기재부의 그린북은 1년전도 2년전도 매번 '동어반복'이었다.

     

    2013년 7월 그린북은 "미국의 양적완화 리스크, 유럽경제의 회복지연 등 불안요인도 상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같은 해 9월과 10월에도 "경제회복조짐이 약하다", "민간회복 약하고 미 리스크 상존한다"고 했다.


    2년전인 2012년에도 마찬가지다. 당시 기재부 관계자는 언제쯤 경제상황이 나아지느냐는 물음에 "월별 지표만으로는 경기를 보는데 한계가 있다"며 "월희월비(月喜月悲)하지 말고 분기성적을 봐달라"고 했다.이후부터 기재부는 한결같이 월희월비 금지령이 내려진 상태다.


    물론 "경제정책을 짜야 하는 공무원으로서는 수치가 아무리 좋게 나와도 낙관보다 비관을 앞세우는 게 원칙"이라는 정부 당국자가 내놓을 수 있는 말로는 맞는 말이다. 경기예측과 분석을 한달 수치를 놓고 평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지표 추이에 따른 기저효과와 계절적, 일시적 요인 등을 종합 고려하고 소규모 개방경제 특성상 상방과 하방을 오가는 대내외 불확실성도 염두야 둬야 한다.

     

    하지만 언제까지 그래야 하나 의문이 든다. 세월호 참사가 드리운 그늘은 6개월이면 충분하지 않은가.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어디 어제, 오늘 일이던가. 경제입법 지연 등 국회의 발목잡기 탓도 할만큼 하지 않았던가. 재정과 세제, 금융까지 깔 수있는 모든 패는 다 동원했다는 초이노믹스의 효과는 언제쯤 나타나는 것인가.

     

  • ▲ ⓒ뉴데일리 DB
    ▲ ⓒ뉴데일리 DB

     

    그린북을 받아든 이들의 표정이 또 심드렁하다. 매달 똑같이 반복되는 경제분석이 시쳇말로 별 영양가가 없다. 다달이 발표되는 그린북만 믿고 추세를 진단했다가는 헛다리 짚기 쉽상이다.

     

    대부분의 지표들이 하강·회복의 경계에서 왔다 갔다하고 해석은 늘 천편일률적이고 매달 경제 현주소를 판단하는 정부의 시각도 감지하기 어렵다.

     

    차라리 초코파이나 신라면, 빅맥, 갤럭시 지수를 들여다보고 휴대전화 번호 이동 건수 같은 비공식적인 업계 자료를 나침반 삼는 것이 낫다는 게 많은 이들의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