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위원회 개최 3.7회, 형식적 운영에 구성도 내부 인사 위주...농협은 "조합원 의견 수렴 위한 것, 내부로 구성 당연"
  •  

    농협의 12개 위원회가 '유명무실'하게 형식적으로 운영되는 사실상의 '유령 위원회'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위원회 구성도 위원의 74%가 외부 전문가가 아닌 지역 조합장, 대의원 등 농협 내부 인사와 임직원들로 이뤄져 전문성이 없고, 사실상 중앙회장의 '정치용'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농협 측은 "정부 위원회가 아니라 자체 사업을 위해 조합원들 의견 수렴을 위한 위원회이므로 그렇게 구성하는 게 당연하다"는 입장이다.

     

    9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박민수 새정치민주연합 의원과 농협중앙회에 따르면, 농협은 교육지원부문에 8개, 경제사업부문에 3개, 상호금융부문에 1개 등 모두 12개의 위원회를 설치해 운용하고 있으나 이 위원회들의 연평균 개최 횟수는 3.7회에 불과하다.

     

    1년에 처리한 안건이 2건 뿐인 위원회도 있다.

     

    박민수 의원은 "독립성을 유지하면서 판단 또는 합의를 도출해야 하는 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열리고, 분기별 1회도 개최하지 않는 것은 형식적이고 유명무실한 운영임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위원회 구성에도 문제가 크다. 전체 위원들의 74%가 지역 조합장이나 중앙회 대의원, 농협 임직원들로 구성돼 있는 것.

     

    특히 교육지원부문 '농업통상위원회'의 경우, 농업통상 관련 농협의 대응방안 수립 및 농정활동 실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지만, 11명의 위원 중 위원장을 포함한 8명은 지역농협 조합장이고 나머지 3명은 전직 조합장이나 중앙회 대의원들이다.

     

    전문 외부 인사 참여가 없어 통상 관련 문제에 전문성이 전혀 없는, 있으나 마나한 위원회인 셈이다.

     

    이 위원회는 지난 2009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약 6년 동안 모두 13회 열려 13개의 안건만 처리했다. 위원들의 임기도 별도로 정해지지 않아 고무줄처럼 늘릴 수도, '파리 목숨'처럼 갈아치울 수도 있다.

     

    한 조합원은 "이런 위원회들은 사실상 내부 인사 의전용이거나 중앙회장 선거를 치러야 하는 중앙회장의 '정치용' 자리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농협 측은 "농협의 위원회는 사업 추진을 위해 회원조합의 의견 수렴을 위한 것이므로 조합 위주로 구성한다"며 "전문성이 필요할 경우 위원회에서 외부 전문가를 부르면 된다. 또 회장 선거와 위원회 구성은 전혀 무관하다"라고 해명했다.

     

    농협 관계자는 "위원회들은 설치 목적에 맞게 위원을 구성하고 회의를 개최하는 등 실효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며 "농업통상위의 경우도 농협 내부의 협의기구로 정책이나 대책을 심의, 의결하는 기구가 아니다.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하기 위해 일선 조합장을 위원으로 구성, 운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