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는 80%가 동의저성과자 선정 기준은 실적·성과·근태·품행
  •  

    직장인 10명 중 7명은 "기업경쟁력 확보를 위해 저성과자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국제경영원은 24일 개최한 '전경련 IMI HR포럼'에서 교육컨설팅기업인 아인스파트너가 직장인 607명(관리자 161명, 직원 446명) 대상으로 실시한 '관리자-직원 간 기업 내 저성과자에 제도에 대한 인식 차' 설문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설문 결과에 따르면, 직장인 68.4%는 "조직 내 저성과자를 선별하거나 저성과자를 위한 제도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 19.1%, 필요하다 49.3%)고 답했다. 특히 관리자는 80.2%가 "조직 내 저성과자 제도가 필요하다"(매우 필요하다 31.7%, 필요하다 48.5%)고 응답했다.

     

    저성과자 선정 기준으로는 '실적·성과'(35.1%), '근태·품행'(33.5%), '동료·주위의 평판'(17.8%) 등을 들었다.

     

    저성과자 관리 제도 실제 운영 여부에 대해서는 관리자는 39.8%, 직원은 21.7%가 "운영하고 있다"고 답해 운영에 대한 인지 여부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 ▲ ⓒ전경련
    ▲ ⓒ전경련

     

    저성과자 선정 기준 역시 마찬가지였다. 관리자의 경우에는 37.3%가 저성과자 선정 기준에 대해 알고 있었지만 직원은 14.1%에 그쳤다.

     

    저성과자 발생 이유로는 관리자의 경우 '역량·자질부족과 같은 본인 문제'(38.5%), '직무의 미스매칭과 같은 조직의 문제'(34.8%), '직속상사의 매니지먼트 능력 문제'(15.5%), '회사나 경영진의 관리소홀 문제'(11.2%) 등을 꼽았다.

     

    직원은 관리자와 달리 '직무의 미스매칭과 같은 조직의 문제'(32.5%), '역량·자질부족과 같은 본인의 문제'(29.4%), '직속상사의 매니지먼트 능력의 문제'(19.1%), '회사나 경영진의 관리소홀 문제'(18.1%)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윤종구 이화여대 경영대 교수는 "저성과자는 개인과 회사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한다"며 "저성과자 관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영역이나 기업의 평판과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