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실태 조사 결과中企도 10곳 중 5곳 "심각하다" 답변기업의 저성과자 판단 기준은 '평가 시 최하위 등급'
  •  


    대기업 10곳 가운데 6곳 이상이 저(低)성과자로 인해 경영상 애로를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전국 30인 이상 38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5년 저성과자 관리 실태조사' 결과를 8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대기업 66.7%와 중소기업 45.8%가 "저성과자가 경영활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답했다.
     

    전체 근로자 가운데 저성과자의 비중은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높았다. 대기업의 경우 저성과자 비중이 '5~10%'라는 응답이 45.4%, '10~15%'라는 응답은 23.5%였다. 반면 중소기업은 '전체의 5% 미만'이 59.8%, '전체의 5~10%'이 25.4%로 조사됐다.

     

    노조 유무별로는 '노조가 있는 기업'(56.3%)이 '노조가 없는 기업'(51.4%)보다 '부정적 영향이 심각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성과자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는 '내부 조직문화 저해'(53.5%)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조직성과 하락'(35.0%), '기업 이미지 훼손'(10.2%) 등이 그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또 '평가 시 최하위 등급'(44.2%)과 '최소한의 업무 역량 미달'(36.1%). '업무능력·성과와 임금간의 큰 격차'(17.9%) 등으로 저성과자를 판단하고 있었다. 


    저성과자 관리를 위해 우선적으로 개선돼야 할 법·제도로는 '근로조건 불이익 변경 절차 요건 완화'(28.2%)와 '배치전환 및 인사이동의 정당성 요건 완화'(25.0%), '해고의 정당성 판단 기준 완화'(23.7%), '근로계약 일반해지제도 법제화'(21.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성과자가 발생하는 원인으로 기업들은 '개인의 역량 부족'(33.0%)과'조직 부적응과 태도문제'(29.4%), '연공형 임금체계로 인한 느슨한 직장문화'(15.7%) 등을 꼽았다.  


    저성과자 개선을 위해 기업들은 '직무교육'(41.2%)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었으며 '직무변경'(34.3%)이나 '보상·처우조건 활용'(17.8%) 등으로 저성과자를 개선하는 기업도 적지 않았다. 

     

    저성과 상태를 극복하지 못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직무변경으로 대응한다"는 기업이 37.9%로 가장 많았으며, '권고사직 등 고용조정으로 대응'(23.2%)과 '직무·직급조정 없이 보상체계로 대응'(19.5%) 등이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