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농진청 개발 제초 로봇.ⓒ연합뉴스
    ▲ 농진청 개발 제초 로봇.ⓒ연합뉴스

    농촌진흥청에서 14억원을 들여 개발한 농업 제초로봇이 제2의 로봇물고기로 전락할 위기에 처했다. 기술이전비는 투자 대비 0.014% 수준에 그쳤다. 민간업체 기술이전 후에도 생산 실적은 아예 없는 실정이다.

    23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받은 '농업로봇 개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농업 제초 로봇 개발 연구에 총 13억8400만원을 투입했다. 1건당 평균 4억6000만원 꼴이다. 친환경 벼농사용 로봇제초 기초기술 연구 5억7000여만원, 제초로봇 자율주행과 로봇 제초기술 개발 6억3000여만원, 벼농사 제초로봇 현장 적응성 연구 1억8000여만원 등이다.

    농진청은 연구사업을 통해 6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5개 업체와 총 65대의 기술이전 계약을 맺었다. 하지만 기술이전료는 2000만원이 전부다. 14억원을 들여 0.014%를 회수에 그친 것이다.

    박 의원은 "기술이전을 시작한 2011년 이후 현재까지 단 1건의 생산 실적도 없다"며 "개발 사업이 실패로 끝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고 말했다.

    박 의원은 "사후 관리에서 특허기술의 국외 유출이나 다른 분야에서 특허기술 사용 때 이를 적발하기 어려워 연구개발 사업이 공중에 흩뿌려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며 "제초로봇 사업이 4대강 로봇물고기 전철을 밟고 있다"고 지적했다.

    제초 로봇은 지난해 7월 농진청이 마련한 시연회에서 기동 10분 만에 고장 났다. 3시간의 수리 이후 다시 기동했지만, 잡초가 아닌 논밭의 모를 제거해 망신을 샀다. 60억원의 예산을 들인 4대강 로봇물고기는 1초당 2.5m를 이동해야 하지만, 23㎝만 움직인 뒤 고장 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