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철강업계가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에 주목하고 있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대외의존도가 높은 철강업계는 직격타를 맞을 것으로 예상된다. 철강사들은 이 경우를 대비해 내수 활성화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 중이지만, 마땅한 대안이 떠오르지 않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철강사들은 한국이 미국의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될 때를 대비해 여러가지 경우의 수를 준비하고 있다.
우선 수출비중이 큰 철강사들은 우려가 크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원화 약세로 수출에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국내 철강사들 중 수출비중이 큰 대표적인 업체는 포스코다. 포스코 수출비중은 전체 판매의 절반을 넘어선다. 수출비중이 큰 만큼 포스코는 환율변화에 민감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다양한 대비책도 준비해 두고 있다.
포스코는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더라도 당장 수출에 큰 타격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시장 판매에 어려움이 있을 순 있지만 수출 다변화로 극복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미국 상무부가 포스코산 열연강판에 61%에 달하는 고관세를 부과했음에도, 타격은 그다지 크지 않다는 사실은 이미 경영실적으로 확인됐다.
포스코 관계자는 "기본적으로 환율 변동에 대해서는 네츄럴환엣지로 대응하고 있다"며 "조작국 지정은 단순하게 환율만 따지고 볼 문제는 아닌거 같다. 철강업계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라고 경계했다.
수출비중이 크지 않은 현대제철은 환율조작국 지정에 크게 상관없다는 분위기다. 다만 포스코와 마찬가지로 업종 전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서는 우려하고 있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일단 조작국으로 지정되면 수출에 타격이 있지 않겠냐"면서 "현대제철 수출비중이 포스코에 비해 작다고 하나 양으로 치면 적지는 않다. 그런 면에서 우려되는 면이 적잖이 있다"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가 환율조작국이 되면 가격 신뢰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반덤핑 등 가격으로 인해 제약을 가할 수 있는 범위가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한다.
손영욱 철강산업연구원 원장은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는 의미는 대외적 환율에 신뢰도를 잃는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며 "이러한 측면으로 봤을 때 국내 업계가 반덤핑 등 수입을 규제할 수 있는 명분이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환율조작국 지정시 산업 전반적으로 미칠 파장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단순하게 철강업계만 볼 사안이 아니라는 말이다. 경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봤을 때 철강업종 또한 부정적인 영향을 피해갈 수 없다고 주장했다.
업계 전문가는 "철강업종은 여러 수요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면서 "그러기에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단순하게 철강업 영향만 볼 게 아니라 다각도로 분석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러한 측면으로 볼 때 환율조작국 지정은 철강업에 근본적으로 불리하게 작용할 수 밖에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