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산업은행, 노·사·전문가 협의체 구성 이후 회의 진행 이상無11월 고용노동부 가이드라인 발표…정규직 전환 논의 속도낼 듯
-
국책은행의 무기 계약직 및 파견·용역 근로자 정규직 전환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노·사·전문가로 구성된 협의체가 의견 조율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이달 중 고용노동부 가이드라인 발표시 논의에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 노·사·외부전문가 협의체는 오는 15일 2차 회의를 개최한다.앞서 기업은행은 지난 9월 중순 20명으로 구성된 협의체를 마련하고 이미 1차 회의를 진행한 바 있다.협의체에는 은행 대표단을 포함해 기업은행 노동조합, 파견·용역관리직 시설관리 노동조합과 외부전문가 등 총 4개 단체가 포함돼있다.기업은행은 텔러와 사무직원 등 무기 계약직이 3000여명에 달하고, 청원경찰과 청소원, 운전기사 등 파견 및 용역관리직원이 2000여명에 달하다보니 두 개 노조가 참여해 각자 입장을 피력하고 있는 상황이다.비슷한 시기에 노·사·외부전문가 협의체를 꾸린 산업은행도 이미 지난 달 30일과 지난 8일 두 차례 내부 회의를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현재 두 은행 모두 협의체 구성 완료 후 정기적으로 회의를 열며 정규직 전환 범위에 대한 노사 의견을 조율하고 있는 상황이다.다만, 아직까지 고용노동부의 파견·용역관리직 정규직 전환 가이드라인 발표 전이다보니 구체적인 논의는 시작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진다.은행 관계자는 "협의체 구성은 일찌감치 마무리했고, 회의는 계속 진행 중"이라며 "고용노동부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면 그에 맞는 정규직 전환 절차와 방법을 결정해 빠르게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업계에서는 고용노동부의 파견·용역직 관련 가이드라인이 발표되면 최소 2019년 전에 국책은행들이 정규직 전환 작업을 마칠 것으로 보고 있다.이에 시중은행들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대다수의 은행들은 이미 텔러 등은 정규직으로 전환했지만, 용역업체에서 간접고용한 청원경찰이나 청소원, 운전기사들은 비정규직으로 남겨둔 상태다.현재 주요 은행들의 파견·용역직 규모가 최소 1000여명에서 많게는 3000명에 달하는데, 만약 이들을 모두 정규직으로 전환하다면 막대한 비용이 들 수 있다.또한, 정규직 직원들과 동일 임금테이블·복지제도 적용 여부 등을 두고도 갈등이 유발될 수 있다. 기존 직원 역차별 논란도 불거질 수 있다 보니 시중은행들은 최대한 조심스러운 입장을 유지 중이다.하지만 기업은행이 향후 파견·용역직 정규직 전환에 성공한다면, 결국 정부 기조에 발을 맞추는 시중은행들도 비슷한 행보를 보일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이에 업계 관계자는 "최근 일부 은행들이 청원경찰과 청소원, 운전기사 규모를 파악하고, 정확한 업무 범위를 파악하는 등 비정규직 직원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고용노동부 가이드라인 발표 이후 국책은행들의 움직임에 발맞춰 시중은행들도 내부적으로 계획을 수립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