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합원물량 없는 개포주공8단지 '로또청약' 가능성 높아정부규제에도 재건축 불패신화 일반분양 이어갈 것
  • ▲ 올해 강남 개포지구 주요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개포주공8단지 전경. ⓒ네이버 거리뷰
    ▲ 올해 강남 개포지구 주요 재건축 단지로 꼽히는 개포주공8단지 전경. ⓒ네이버 거리뷰


    지난해 강남에서 불어온 재건축 주택시장 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고 있다. 분양시장에서는 재건축 분양물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로또청약'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올해 재건축시장 수도권 격전지를 살펴봤다.


    재건축시장을 겨냥한 정부의 재건축연한 강화 검토에 이어 초과이익·부담금 경고까지 나오면서 일부 재건축 단지가 패닉에 빠졌지만 일반분양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서울 등 수도권 재건축시장은 각종 규제에도 불구하고 청약열기가 쉽게 수그러들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수도권에서 재건축 정비사업을 통해 총 1만5335가구가 일반분양 예정이다. 이는 지난해 9579가구 대비 60.1%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7107가구로 전년 대비 4351가구 증가했고, 인천이 1136가구로 1040가구 증가했다. 서울은 7092가구가 분양을 앞두고 있어 전체 일반분양 물량은 늘었지만 전년 대비 365가구 증가하는데 그쳤다.


    재건축 추진지역은 재건축 이후 집값 상승폭이 커 청약 당첨만으로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기대감이 강하다. 올해 재건축 분양물량 가운데 격전지로 꼽히는 곳은 △강남 개포지구 △서초구 △경기도 과천시 세 곳으로 압축된다.


    서울 강남구에서는 개포지구와 삼성동 일원에서 재건축 일반분양이 쏟아진다. 먼저 개포주공8단지를 재건축하는 디에이치자이는 빠르면 다음달 분양을 앞두고 있다.


    해당 단지는 1984년 10개동·1680가구 규모로 지어져 공무원연금공단이 공무원임대 아파트로 운영해 왔다. 2015년 7월 현대건설 컨소시엄이 약 1조2000억원에 인수하면서 본격적인 재건축 절차에 돌입했다.


    기존 12층·10개동·1680가구가 최고 35층·18동·1996가구로 탈바꿈할 예정인 가운데 조합원이 없어 임대아파트 306가구를 제외한 1690가구를 일반에 분양한다.


    일반분양 물량이 적은 기존 재건축아파트와 달리 일반문양 물량이 1700가구에 육박해 내집 마련은 물론, 투자수익을 동시에 노릴 수 있다는 점에서 강남 재건축 분양단지 중 최대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7월경에는 GS건설이 재건축하는 개포주공4단지 3320가구 가운데 281가구가 일반분양을 앞두고 있고, 강남구 삼성동에서는 삼성물산이 상아2차아파트를 헐고 679가구 중 122가구를 하반기 분양예정이다.


    서초구에서는 올 상반기 강남역 일대를 생활권으로 하는 두 아파트가 분양을 앞두고 있다.


    서초동 무지개아파트는 오는 4월 1481가구 가운데 204가구를 일반분양하고, 무지개아파트 바로 옆에 위치한 우성1차아파트는 총 1276가구로 재탄생, 이중 192가구가 상반기 중 일반분양된다.


    마지막 격전지는 경기도 과천시다. 주공아파트 재건축사업이 한창인 가운데 일반분양이 대거 몰려있다.


    당장 오는 26일 대우건설은 과천주공7단지를 재건축한 과천 파크 푸르지오 써밋 분양에 나선다. 총 1317가구 중 575가구가 새 주인을 찾고 있다.


    3월에는 과천주공2단지를 헐고 짓는 총 2129가구 중 1000가구가 일반분양하고, 9월경에는 과천주공6단지 재건축 물량 2145가구 가운데 886가구가 일반분양된다.


    이밖에 서울 중랑구 면목동에서는 쌍용건설과 모아주택산업이 각각 면목6구역, 면목4구역, 인천 남구 주안동에서는 신일과 동부건설이 각각 광명아파트 1·2차, 주안7구역을 연내 분양할 계획이다.


    한편,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정부가 재건축규제를 강화할수록 공급부족과 새 아파트 수요 증가 현상이 맞물려 재건축 가격은 더 오를 것"이라면서 "오히려 시장불안만 야기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심 교수는 또 정부의 이번 초과이익 부담금과 관련 "정부에서 부담금 산출 주요 근거를 모두 공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단순히 시장에 충격을 줄려는 의도가 강해 보인다"면서 "조합원 간 갈등을 부추기는 등 사업 진행 자체를 늦추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