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산란 측정법 가이드라인 안갯속"… 공신력 취득 못해 '전전긍긍'ICT 인프라 활용 전국 1500개 공기질 관측망 구축 불구 사업 '방향' 못잡아
  • ▲ KT 미세먼저 측정기기ⓒ전상현 기자
    ▲ KT 미세먼저 측정기기ⓒ전상현 기자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강화하고자하는 ICT 기업들이 환경부의 늦장 대응으로 공기 측정 솔루션의 공신력을 취득하지 못해 전전긍긍이다.

    환경부는 당초 올 상반기까지 대부분의 제조사들이 쓰고 있는 '광산란 측정방식'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정하기로 했으나, 아직까지도 해당 가이드라인을 내놓지 않고 있어 관련 사업들이 추진력을 잃어가고 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현재 '중량법' 등을 사용해 미세먼지를 측정하고 있다. 중량법은 특정 장소에서 정해진 시간 동안 일정량의 먼지를 포집해 정밀한 저울로 재는 방식이다. 정확한 방식으로 평가되지만 결과를 얻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 대부분의 공기측정 제조사들은 광산란 측정법을 사용해 미세먼지 측정 솔루션을 내놓고 있다.

    광산란법은 포집한 먼지에 빛을 쏴 산란광의 양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미세먼지 농도를 추정하는 방식이다.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실시간 측정이 가능하고 측정기 휴대가 용이하다.

    정부는 광산란법의 경우 입자의 개수농도를 측정하고, 이를 질량 농도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며 일부 기업들의 '광산란 측정방식'에 정확도가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솔루션 기업들은 환경부에서 미세먼지를 조사할 때 사용 중인 중량법이 정확한 수치를 내기는 하나, 중량법 센서 자체가 비싸 공기 측정 솔루션에 장착하면 제품 가격이 1억원 이상으로 올라가고, 소형화하기 쉽지 않아 중량법을 탑재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이후 환경부는 올초 이러한 기업들의 의견을 수렴해 국립환경과학원과 미세먼지 측정 방법에 대해 논의를 진행하겠다고 결정, 올 상반기 광산란법에 대한 기기 인증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로 했으나 깜깜 무소식이다.

    KT 역시 광산란법을 이용해 지난 9월부터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을 활용, 미세먼지 저감활동을 지원하는 '에어맵 코리아 프로젝트'를 진행 중인데, 정부의 광산란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늦어져 사업의 방향이 점점 애매해 지고 있는 모양새다.

    KT는 기지국, 공중전화부스 등 현재 보유한 ICT 인프라를 활용해 서울 및 6대 광역시 1500개소에 사물인터넷 기반 공기질 관측망을 구축했는데, 광산란 가이드라인이 빨리 정해지지 않으면 극단적으로 이 모든 망들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이 높다.

    업계는 광산란 가이드라인이 완성되도 미세먼지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해야 법적 근거가 명확해지는데, 대승적 차원에서 국회서 해당법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며 정부의 가이드라인만 조속히 나오면 문제될 것 없다는 입장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공기질 측정 기기의 센싱 데이터가 다량으로 모이고, 빅데이터를 정교화하면 광산란 측정 방식의 신뢰도가 개선될 것"이라며 "해당 가이드라인의 조속한 도출로 신뢰도 인증을 빨리 받아 국가 미세먼지 관측망을 보조하는데 큰 기여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