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대형銀 인력적체 '여전'…허리 라인 직원多지방은행 행원급 55%…시중은행은 46% 불과
-
지방은행이 국내 대형은행보다 인적구조 측면에서 더 젊은 것으로 나타났다.특히 4대 은행의 항아리형 인력적체가 여전한 가운데 지방은행의 젊은 층 비중이 눈에 띈다.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5대 지방은행의 9월 말 기준 일반직원 1만450명 중 행원급은 54.8%(5625명)이다.특히 부산은행(57.7%)과 경남은행(57.3%)의 경우 행원급이 60%에 달했다. 대구은행은 52.3%가 행원급이었다.지방은행 중 가장 덩치가 작은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의 경우 책임자급과 행원급 비중이 비슷했다.두 은행 모두 지난 10년간 항아리형 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인력 개선에 힘쓰면서 20~30대 직원이 각각 55.8%, 46%로 확대됐다.이는 국민은행의 20~30대 비중(35%)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직원 평균 연령도 시중은행(44세)보다 광주은행이 36세로 젊다.국민, 신한, 우리, KEB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9월 말 기준 일반직원 5만6053명 중 책임자급은 54.0%(3만259명)이다.행원급은 46.0%(2만5794명)로 책임자급이 4465명 더 많았다. 일명 인력의 허리 라인이 유독 많이 분포된 모습이다.항아리형 인력구조는 일반직원 중 행원급보다 차장, 팀장 등 책임자급이 더 많은 비만형을 뜻한다. 통상 사원, 대리, 과·차장, 부장 등으로 올라가면서 자리가 줄어드는 게 일반적이다.특히 KEB하나은행을 제외하고 모두 책임자급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KEB하나은행 행원급은 52.2%다.가장 항아리형 구조가 심한 곳은 국민은행으로 일반직원이 1만6435명 중 책임자급이 9624명에 달했다. 행원급(6811)은 41.4%에 불과했다.신한은행과 우리은행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행원급은 각각 45.4%, 46.2%로 책임자급이 1000명 이상 더 많았다.시중은행들이 매년 대규모 희망퇴직을 단행하고 신규 채용도 확대하고 있지만 비효율적 조직형태는 몇십 년 간 쉽사리 해소되지 않고 있다.기업 인력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신입 직원이 많아야 하지만 개선되지 않는 실정이다.업계에서는 IMF 외환위기 이후 은행권 항아리형 인력구조가 심각해졌다고 입을 모은다.당시 시중은행들이 희망퇴직을 단행한 후 신규 채용은 줄이고 기존 직원의 승진 인사는 계속하면서 책임자급 비중이 몇 년 사이 점점 커진 것이다.통계를 보면 지난 1990년대 후반까지만 해도 은행별 행원급이 1000~2000명 정도 많았지만, 2002년부터 역전 현상이 발생했다.국민은행의 경우 2001년 행원급이 절반 이상이었는데 2002년에는 책임자급 56%, 행원급 44%로 뒤집혔다. 우리은행도 2001년 행원급이 54%였다가 2002년 44%로 줄었다.은행권 관계자는 "디지털금융 확산에 따라 지점 감소와 비대면 영업 강화로 고인력자들이 갈 곳이 없어 밑에서 올라오는 새싹 직원들의 성장을 막고 있는 것"이라며 "수년간 인력적체가 해소되지 않고 있어 항아리형보다 역삼각형 구조가 더 알맞다는 이야기도 나온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