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4년 안에 제로(0%) 수준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도 대내외 경제 여건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연 1.00% 또는 이하로 까지 낮출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24일 KB증권에 따르면 현재 연 1% 초중반대인 한국의 국고채 10년물 금리가 앞으로 4년 안에 0%대에 진입할 수 있다.
인구 고령화와 저성장이 만성화하면서 장기적으로 국고채 금리를 끌어내릴 것이라는 분석이다.
KB증권은 한국보다 먼저 국채 10년물 금리가 0%대에 진입한 국가들의 고령화율과 한국의 인구추계를 이용해 추정해보면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향후 4년 내에 0%대에 진입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김상훈·장재철·신동준 연구원은 "금리는 장기적으로 잠재성장률에 동행하는데, 한국의 잠재성장률은 2010년대의 2%대 후반에서 2020년대에는 2% 내외로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주요인은 자본과 노동의 성장기여도 하락이며, 한국의 고령화율은 그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 한국은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이후 지난해 2018년 고령 사회에 진입했고, 6년 후인 2025년에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이는 일본의 11년, 프랑스의 29년보다 훨씬 빠르다.
생산가능인구 (15세~64세)도 고령 사회에 진입한 지난해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으며, 현재의 인구 추계대로라면 지난해 5160만명인 전체인구도 5200만명을 정점으로 2029년부터 감소세로 전환이 예상된다.
한국의 고령화 속도가 빠른 것은 출산율은 낮은 가운데 기대수명이 늘어나기 때문이다.
KB증권은 지난 2015년 국채 10년물 금리가 2% 이하로 하락한 국가들의 2% 진입 시의 고령화율로 추정해본 결과 한국도 2020년에 2% 이하로 하락이 예상되고, 고령화 속도가 빨라 당겨질 수도 있다는 보고서를 낸 바 있다.
그러나 당시 2.1%였던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바로 그 다음 해에 1.35%까지 하락했다.
4년이 지난 지금 당시의 22개국 중 19개국의 국채 10년물 금리가 0%대에 진입 경험이 있고 9개국은 마이너스다.
김 연구원은 "국채 10년물 금리가 0%대인 국가들의 0%대 진입 시 고령화율 평균은 18.4년이었고, 이를 한국의 인구 추계에 대입하면 한국도 4년 후인 2023년에 10년물 금리가 0%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결과가 나왔다"며 "한국의 고령화 속도 및 현재의 국내외 경제 상황상 이보다 빨리 0%대 금리에 진입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역시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
미국 등 주요국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방향으로 통화정책을 펴는 가운데 한국은행도 추세를 따라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전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1.33%로 기준금리(연 1.50%)보다 0.17%포인트 낮았다.
이는 채권시장에서 한은이 한 차례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란 기대를 반영한 결과다.
전문가들도 내달 또는 11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1.50%에서 1.25%로 낮출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경제 성장세가 둔화되면서 소비자물가 하락으로 디플레이션 우려가 높은 상황을 맞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내년에도 한은이 금리 인하를 지속할지에 대해 관심이 쏠린다.
특히 글로벌 경제가 내년에 더 악화될 경우 기준금리는 연 1.0%보다 더 낮은 0%대 진입도 가능할 것이라는 보고서들이 나오고 있다.
한편 KB증권은 제로 금리 시대에서 투자자들 전략은 큰 폭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상훈 연구원은 "성장률 저하로 금리 하향 조정이 이뤄지는 만큼 국고채 수익률 하락과 함께 국내 증시 수익률도 내려갈 가능성이 높아 성장 가능성이 높은 국외 자산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며 "제로금리는 이론적으로 가계의 자금을 저축에서 투자로 이동시키지만, 일본의 사례와 같이 현금 및 안전자산의 수요를 더 확대시킨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