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 구조화상품 투자현황 조사결과
  • 구조화상품에 투자한 투자자들의 절반가량이 은행과 증권사 판매직원의 적극적인 권유로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발적인 투자는 30%에 불과했다.

    30일 한국금융투자자보호재단은 이같은 내용의 '2019년 구조화상품 투자현황 조사결과'를 공개했다.

    재단은 지난해 발생한 DLF 불완전판매 사태를 계기로 현재의 구조화상품 판매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설문조사를 통해 서울·수도권신도시·6대광역시 등 만 25~64세 성인 남녀 2530명을 대상으로 투자현황과 가입과정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40대 이상 투자자들의 구조화상품 평균 투자금액이 많고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보다 위험성이 높은 상품에 더 많이 투자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화상품에 투자하고 있는 사람은 158명(6.25%)으로 예·적금(91.4%), 펀드(26.2%), 직접투자(38.6%)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비율이 낮았다.

    평균 투자금액은 4442만원이며 연령대가 높을수록, 투자성향이 공격적일수록 평균 투자금액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연령대별로는 40대, 50대의 투자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연령대에 관계없이 구조화상품 투자자들은 원금보장 상품(ELD, ELB, DLB)보다 위험성이 높은 상품(ELS, ELF, DLS, DLF)에 더 많이 투자했다. 연령이 높아질수록 구조화상품 평균 투자금액이 많고 원금보장 상품보다 위험성이 높은 상품에 더 많이 투자하고 있는 점은 노후자금 준비에 차질이 있을 수도 있음을 암시한다는 설명이다.

    무엇보다도 이들 구조화상품 가입 과정에서 판매직원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성향 진단을 받은 투자자 중 약 3분의 1이 자신의 투자성향 결과와 관계없이 상품을 권유받거나(19.1%) 권유하려는 상품에 맞도록 투자성향 결과가 바뀌었다고 응답(14.6%)했다. 은행을 통해 구조화상품에 가입하는 투자자들은 가구소득이 비교적 낮고 투자성향이 안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투자자의 절반가량(46.8%)이 '은행, 증권사 등 판매 직원의 적극적 권유'로 구조화상품에 투자했다고 답했으며, '자발적으로 투자'했다는 비율은 30.4%에 그쳤다. 특히 연령대가 높을수록 직접 방문해서 상품 가입하는 비율과 판매직원의 권유로 상품에 가입하는 비율이 모두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판매직원의 권유로 상품에 가입하는 비율이 높은 것을 볼 때 구조화상품 투자에 판매직원들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함을 알 수 있다는 분석이다.

    권순채 책임연구원은 "투자자들이 생각하는 자신의 투자성향과 판매과정에서 이뤄지는 투자성향 조사결과 간 괴리가 있을 가능성과 판매 과정에서 투자성향에 따른 권유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 혹은 최근 DLF 불완전판매 사태에서 지적됐던 적합성·적정성 원칙 의무가 지켜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권 책임연구원은 "은행은 상대적으로 가구소득이 낮고 투자성향이 안정적인 투자자들이 많이 방문하므로 규제당국이 DLF 불완전판매 사태 개선방안에서 강조한 것처럼 고위험상품 판매 시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