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의학회 여름 학술대회서 ‘환자 분류에 따른 의료기관 설정’ 강조 전체 인구 코로나19 0.5% 감염 시 중환자실 확보 ‘초비상’일반병동→준중환자실 전환 등 2500개 병상 추가 확보 시급
  • ▲ 김윤 서울대 교수가 예방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대한예방의학회 유튜브
    ▲ 김윤 서울대 교수가 예방의학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고 있다. ⓒ대한예방의학회 유튜브
    세계적으로 K방역의 우수함은 증명됐지만, 치명률은 타 국가와 대동소이한 상태다. 이는 방역이 아닌 진료 영역으로 넘어가면 개선돼야 할 부분이 많다는 지표로 해석된다. 

    쉽게 말해서 확진자를 빨리 찾아 감염 전파를 줄이는 것에는 그 능력을 인정받았지만, 확진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상 엉켜있는 곳이 있다는 것이다. 

    해석상 민감한 부분일 수 있지만, 민간병원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해 이러한 현상이 나타났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김윤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교실 교수는 대한예방의학회 여름 학술대회를 통해 이 같은 주장을 펼쳤다. 

    김 교수는 “미국이나 유럽 등 국가 대비해서 인구 100만명당 확진자 수는 현격하게 낮은 수준이다. 방역을 잘했다는 뜻이다. 그러나 치명률 측면에서는 그렇지 않다”고 설명했다. 

    그가 제시한 연령보정 치명률로 보면 우리나라 3.3%, 스페인 3.9%로 별반 차이가 없었다. 스웨덴, 덴마크, 오스트리아, 인도네시아 등 우리보다 치명률이 낮은 국가도 많은 상황임이 드러났다. 

    우리나라가 치명률을 낮추지 못한 이유는 결국 진료체계 상 문제가 있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한 근거를 확보하기 위해 3~4월 코로나19 환자의 진료실적을 분석한 결과, 민간병원의 역할론이 미흡했다는 결론이 나왔다. 

    김 교수는 “공공병원에서 77.7%의 환자를 받았고 민간병원에서 22.3%의 환자를 진료했다. 그 격차가 컸는데, 문제는 공공병원은 중환자를 진료할 시스템이 갖춰지지 못한 300병상 이하의 병원이 많다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코로나19 대확산 시기임에도 중환자 진료를 제공할 능력이 부족한 300병상 이하 공공병원의 비중이 48.3%나 됐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300병상 이하의 병원은 시설 측면에서 중환자 기능이 취약하다. 결국 에크모나 인공호흡기가 필요한 중증환자들이 상급종합병원이나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진료를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상급종합병원은 병실을 0.8% 수준만 코로나 환자를 진료하는데 활용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자기 수준에 맞는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지 못하면 치명률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 일례로 최중증 단계의 코로나19 환자가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에서 치료받은 비율은 29%밖에 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 중증도 구분해 명확한 의료기관 배정 필수 

    지금도 계속해서 늘어나는 확진자에 대한 진료를 명확하게 하려면 환자분류에 맞는 명확한 의료기관 설정이 필요하다는 제안이다.

    구체적으로 ▲최중증(0.5%), 에크모 또는 지속적 혈액여과 투석기(CRRT) 필요, 상급종합병원 중환자실 ▲중증(3.6%) 인공호흡기 치료,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 ▲중증도(11.8%) 심폐질환, 악성종양, 만성신부전 환자, 상급종합병원 및 종합병원 일반병동 ▲경증(84.1%) 생활치료센터 등으로 구분해 치료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코로나19는 현재진행형이다. 추후 대량환자 발생 시 공공병원에서 환자를 수용하기 어려운 상황이 된다. 민간병원이 중환자실을 열고 대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전체 인구 중 코로나19 감염을 0.2%, 0.5% 등으로 구분해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었는데, 0.5% 감염 시 현 의료체계 내에서 대응능력이 현격히 떨어질 수밖에 없음이 드러났다. 

    김 교수는 “가상 시나리오로 병상 부족분을 예측했을 때, 중환자실 2500병상이 추가로 확보돼야 한다. 일반병동을 준중환자실로 전환시키고 수술장, 회복실 등도 중환자실로 바꿔야 하는 상황”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