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 국책사업 종료되지만 연장 여부 ‘불투명’ 질본 주도로 사업이관 필요성… 안정적 예산 투입 관건될 듯 WHO, “질환→기능 중심 패러다임 전환 등 의미있는 연구”
  • ▲ 원장원 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장(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경희대병원
    ▲ 원장원 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장(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경희대병원
    국책사업 일환인 ‘노인노쇠코호트’ 연구는 오는 11월로 종료된다. 지난 2016년부터 시작돼 약 5년간고령화 관련 다양한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었지만 지속될지 여부는 불투명한 상태다. 

    장기적으로 필요한 연구라는 점에서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정부 예산을 받아 움직이는 구조이다 보니 사업연장이라는 목표에 다가가기 어려운 실정이다. 

    그 와중에 세계보건기구(WHO) 측에서 업무협력을 하자는 친서가 날라왔다. 한국에서 진행하고 있는 노인노쇠코호트 사업이 가진 의미가 크기 때문에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는 내용이었다. 

    최근 본지와 만난 원장원 한국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장(경희대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노인병학회 이사장)은 “사실 걱정이 많다. 사업종료가 얼마 안 남은 시점인데 연장에 관한 사항이 조율되지 않았다. 고령화 대응을 위한 필수과제인데 어떻게 될지 모르겠다”고 우려했다.

    노인노쇠코호트 사업은 경희대병원을 필두로 서울대병원, 고대구로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아주대병원 등 전국 10곳의 센터에서 데이터를 쌓아 여러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다. 

    쟁점은 질병뿐 아니라 기능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신체기능(보행평가, 근력), 인지기능평가, 사회기능평가, 정신적 기능평가, 삶의 질 평가 등을 아우른다. 이를 기반으로 생존이 아닌 실질적 ‘노인의 삶’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는 “더 해야 할 연구이자 숙제다. 사업단장직에 대한 미련은 없다. 지금까지 충실히 연구를 진행했고 틀은 잡혀있다. 이제는 정부주도로 이 사업을 이어나가길 바랄 뿐”이라고 강조했다. 

    지금까지는 보건복지부 주도의 사업이었는데, 보다 전문성을 갖춘 질병관리본부 차원에서 담당해야 효율적 연구가 진행될 것이라는 제안도 내놓았다. 

    원 단장은 “코로나 시국 속 예산문제가 난관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쉽지 않겠지만 질본이 바통을 이어받아 장기적 관점을 해결책을 마련해주길 바란다”고 요청했다. 

    ◆ WHO 서신, 이례적 연구체계 등 긍정적 평가

    그의 신념과 의지가 통했던 것일까. 지난달 말 WHO는 그에게 친서를 보냈다. 노인노쇠코호트 사업이 가진 의미를 치하하면서 협력체계를 구축하고자 한다는 내용이었다. 

    WHO에 따르면, 노인노쇠코호트 사업은 다수의 센터를 운영하는 방식으로 노인의 건강과 사회 복지 요구를 해결함에 있어 기존의 질병 기반 접근 방식을 뛰어넘는 연구라고 평가했다. 

    장기요양의 중요 영역뿐 아니라 다양한 노인 건강의 요소들을 설명하고 조사하는 포괄적인 범위의 자료를 수집하고 있기 때문이다. 

    WHO는 협력체계를 구축해 ‘건강노화 향후 10년 사업(Decade for Healthy Ageing)’을 지탱하는 근거를 창출하자고 제안했다. 

    원 단장은 “WHO의 친서는 노인노쇠코호트가 가진 중요한 의미를 그대로 전달하는 지표라고 생각한다. 정부도 이 방향성을 제1의 원칙으로 삼아 사업연장을 추진해주길 요청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