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부처 합동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확정2030년 AI 반도체 시장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목표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AI(인공지능)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을 목표로 오는 2030년까지 전문인재 3000여명을 양성한다.

    정부는 12일 국무총리 주재로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개최하고, AI 강국 실현을 위한 'AI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했다.

    정부는 그간 AI와 시스템반도체를 혁신성장 전략투자 분야로 지정하고, '시스템반도체 비전과 전략', 'AI 국가전략', '디지털 뉴딜' 등을 통해 집중 지원 중이다.

    특히 AI 반도체는 4차산업혁명 및 비대면 경제 가속화에 따라 AI·데이터 생태계의 핵심 기반이자 시스템반도체의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AI 반도체 시장은 지난 2018년 70억 달러 규모에서 오는 2030년에는 117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AI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으로 AI·종합반도체 강국 실현'이라는 비전을 수립했으며,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고급인재 3000명 양성을 위한 2대 추진전략과 6대 실행과제를 마련했다.

    우선 AI 반도체 플래그십 프로젝트를 추진해 기술리더십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서버·모바일·엣지 분야의 혁신적 NPU(신경망처리장치), 미래 신소자, 미세공정 및 장비를 개발한다. 이와 함께 신소자, 혁신적 설계 기술 등을 융합한 초고성능·초저전력 '차세대 AI 반도체'를 2029년까지 개발한다는 방침이다.

    국가 AI·데이터댐 인프라에도 AI 반도체를 시범 도입해 실증하기로 했다. 구체적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광주 AI 클러스터' 등 공공·민간 분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 국산 AI 반도체(서버용 NPU)를 시범 도입해 검증하고, 2022년까지 AI 반도체가 탑재된 '고성능 AI 서버'를 자립화한다.

    국내 기업이 취약한 소프트웨어 분야 국가 R&D(연구개발) 및 기술애로 특화지원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산학연 협력 연구를 비롯 AI 서비스 수요와 연계한 기술실증 지원도 확대한다.

    정부는 민·관 공동투자 및 선도대학 육성을 통해 2030년까지 전문인재 3000명을 양성한다. 기업과 정부가 1대1 투자하는 AI 반도체 아카데미 사업을 신설하고, 석·박사급 설계인력을 집중 양성하는 선도대학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AI 반도체 실습 인프라 및 재직자·학부생 대상의 교육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AI 반도체 설계 경연 등을 통해 인력저변도 확대한다.

    이 밖에도 1사 1칩 프로젝트를 통해 2030년까지 수요 맞춤형 AI칩 50개를 출시하고, 기업 간 연대·협력으로 AI 반도체 설계 역량 강화 및 공정혁신밸리 조성에 나선다.

    아울러 AI 반도체 혁신기업 촉진을 위해 대규모 뉴딜펀드를 지원하며, 혁신기업 육성을 위한 AI 반도체 혁신설계센터도 신규 구축한다. 글로벌 기업이 보유한 역량을 국내 팹리스에 개방해 설계부터 생산까지 책임지는 창업지원체계도 마련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반도체는 향후 AI 시대를 위한 데이터 댐 등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서, 우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간과 정부가 협력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력 분야"라며 "대형 R&D 및 인력양성 프로젝트, 디지털 뉴딜과 연계한 초기 수요창출 등 제반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시행해 세계 AI 반도체 선도국가가 되게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