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같은 기간(127만3226대)보다 39.7%↑매년 늘어나는 리콜 규모… 소비자 불안 및 불만 커져소비자 권익 보호 장치 강화해야
  • ▲ 한 자동차 매매업체 외부 전경. 본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뉴데일리DB
    ▲ 한 자동차 매매업체 외부 전경. 본 기사 내용과 관계 없음 ⓒ뉴데일리DB
    자동차업계에 ‘품질 경고음’이 울리고 있다. 올해 수차례 내려진 리콜(결함 시정) 조치로 그 규모가 178만대에 육박했다. 안전상 결함이 나타나는 사례가 속속 나오면서 사상 최다 대수라는 불명예 기록을 떠안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22일 국토교통부 산하 한국교통안전공단에 따르면 지난 1~9월 총 854개 차종 177만9829대(일부 원동기 포함)가 리콜에 들어갔다. 지난해 동기(127만3226대)보다 39.7% 늘어난 수치다. 이미 지난해 1년 간 일어난 리콜 건수(216만7534대)의 82.1%를 넘어서고 있다.

    리콜 건수는 매년 늘어나는 추세다. 2016년 67만4983대, 2017년 241만3446대, 2018년 282만532대를 기록했다. 2018년 당시에는 BMW 화재 사고로 인한 무더기 리콜 사태가 벌어진 바 있다.

    제작 결함은 국산차, 수입차 가릴 것 없이 나타나고 있다. 올해 기준으로 보면 국산차는 총 77개 차종 128만2454대로 집계됐다. 현대차(93만8392대), 기아차(14만8327대), 쌍용차(13만992대), 르노삼성(3만2921대), 한국GM(2만6199대) 순이었다.

    수입차는 총 787개 차종 49만7375대가 리콜을 실시했다. BMW(18만7137대), 메르세데스벤츠(11만3073대), 아우디폭스바겐(6만3277대), 볼보(2만9164대) 등이었다. 시동 꺼짐이나 화재 발생 가능성부터 안전벨트 경고 장치 미흡 등 원인 역시 다양했다.

    최근에는 코나 전기차가 연이은 화재로 논란에 휩싸이면서 소비자의 불안과 불만이 커졌다. 출시된 지 몇 달 뒤 잇따르는 무상수리로 인해 품질에 대한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는 목소리도 많다.

    연료공급 호스 리콜을 받은 운전자 A씨는 “안전과 직결된 일인 만큼 ‘괜찮을까’하는 걱정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다”고 불안감을 드러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업계 관계자는 “빨라진 신차 주기, 판매 압박, 원가 절감에 안전이 밀려나고 있다”면서 “자발적 리콜을 줄이고 적극적인 관리·감독에 나서는 등 시행규칙을 손볼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징벌적 손해배상을 확대하고 책임을 지우는 등 대책이 필요한 시기”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