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등 필수… 부진시 사업연계 어려워국민연금, 270여 기업 ESG 현황 파악 중총수들 직접 나서 진두지휘
  • ▲ 신동빈 롯데 회장이 지난달 열린 상반기 사장단회의(VCM)에서 ESG 경영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롯데
    ▲ 신동빈 롯데 회장이 지난달 열린 상반기 사장단회의(VCM)에서 ESG 경영에 관해 논의하고 있다. ⓒ롯데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재계의 화두가 되고 있다.

    거센 글로벌 탈탄소화 움직임 속에 ESG에 뒤쳐질 경우 세계시장 진출은 언감생심이다. EU는 의무적으로 CSR 활동내역 공개를 요구한다. 협력사 선정시 상대기업이 기준치에 미달할 경우 사업연계를 중단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산업재해나 지배구조 이슈에 간섭강도가 한층 높아지는 추세다. 국민연금은 3월 본격 주총을 앞두고 5% 이상의 지분을 보유한 270여 기업의 ESG 현황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ESG 지표를 문제 삼아 적극적 주주제안에 나설 경우 정부가 원하는 인사가 사외이사로 추천될 공산이 크다.

    금융위와 환경부는 환경정보 공시 및 녹색채권 발행에 ESG를 강제하고 있다. 자율공시가 우선이지만 자산 2조 이상의 상장사들은 2025년부터, 나머지 모든 코스피 상장사는 2030년부터 공시가 의무화된다.

    이미 삼성 SK 포스코 롯데 한화 등 국내 유수의 기업들은 ESG 경영에 나서고 있고 각 그룹의 총수들은 신년사를 통해 일대 혁신을 주문하고 있다.

    5000억 이상의 굵직굵직한 대형 M&A 테마도 '친환경'이다.

    ESG 경영은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를 측정하는 지표다.  기업의 사회적 역할이 커지면서 사회공헌활동과 지속가능한 발전, 환경문제 등을 경영의 중요한 요소로 고려하는 것이다. 기업과 사회가 서로 선순환해야 두 집단 모두 ‘건강한 생존’이 가능하다는 시각이다.

    하지만 국내기업들의 갈 길은 아직 멀다.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에 따르면 전체 평가대상인 963개사 중 3분의 1 가량인 306개사 C~D 등급이다.

    가장 취약한 분야는 E(환경)분야로 296개사 D등급을 받았다. C등급도 198개사에 달했다. S(사회)와 G(지배구조)에서 하위권 등급을 받은 기업은 각각 27개와 203개였다.

    상위 등급인 A+를 받은 기업은 E부문 10개, S부문 72개, G부문 18개사에 그쳤다. 최상위 등급인 S등급을 받은 곳은 한 곳도 없었다.

    KCGS 관계자는 "보통인 B등급 이하가 전체의 68%에 달한다"며 "아직 우리나라 기업 상당수는 ESG 경영에 취약하다"고 평가했다.

    다행히 최근들어 부쩍 관심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의 움직임이 빨라지고 있다.

    최대 취약점인 환경과 산업재해 분야를 중심으로 채비에 나서고 있다.

    ESG 전담 실무조직이 꾸려지고 이사회 중심의 ESG 위원회도 생겨나고 있다. ESG가 전사적 이슈로 부상하는 모습이다.

    ESG 경영 전도사로 알려진 최태원 SK회장이 대한상의 수장이 될 것으로 확실시 되는 바 앞으로 그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ESG 철학이 전지구적 이슈로 공론화되고 있기 때문에 향후 연간 단위 ESG 평가나 상시뉴스가 속출할 것이며 곧바로 주가에도 영향을 끼칠 것"으로 내다보면서 "이제 ESG경영은 기업들에게 필수사항"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