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달 지났지만 서울지역 아파트값 상승세 여전정비구역 지정안된 노후빌라까지 투자자 몰려 민간정비 기대감 영향…공급대책前 회귀 전망도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정부가 대규모 주택공급대책을 내놓은지 두달이 넘었지만 부동산시장 과열 양상이 여전한 모양새다. 서울의 경우 강남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매맷값이 꾸준히 오르는 반면, 외곽지역에서는 정비사업 기대감에 오래된 빌라까지 매수문의가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서울전역에서 민간 재건축·재개발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정부 주택공급대책 효과를 두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7일 KB국민은행 부동산 시세 통계에 따르면 지난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122.3으로 지난 2월4일 정부가 주택공급대책을 내놓기 직전(2월 1일)과 비교해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가격지수가 많이 오른 상위 5개 자치구를 살펴보면 노원구 133.1, 구로구 126.9, 양천구 125.4, 영등포구·마포구 125.3, 성북구 124.4 등으로 같은 기간(노원구 128.6, 구로구 124.0, 양천구·영등포구 122.8, 마포구 121.4, 성북구 121.3) 모두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의 경우 정부의 주택공급대책 및 공동주택 공시가격 발표 이후 매물이 점차 쌓이는 모습이지만 '똘똘한 한채'를 선호하는 현상과 민간재건축 활성화 조짐이 맞물리면서 강남권을 중심으로 매맷값 오름폭이 커지는 상태다. 

    실제로 지난달 서울 대형 아파트(전용면적 135㎡ 초과)의 평균 매맷값은 22억1106만원으로, 처음으로 22억원을 넘어섰다. 전년(19억5214만원) 대비 약 2억6000만원 오른 셈이다. 강남권의 경우 평균 아파트 매맷값이 약 23억9000만원, 강북권은 약 16억6000만원으로 나타났다.

    A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강남뿐만 아니라 강북아파트 매맷값도 지난해와 비교해 10% 이상 올랐다는 점에서 여전히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점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라며 "정비사업 기대감이 높은 아파트들의 경우 매물 품귀에도 잇따라 신고가가 속출하고 있으며, 이는 정비사업과 무관한 인근 단지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어 집값이 쉽게 잡히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최근에는 빌라 매수세도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2월 5일 이후 현금청산 문제가 불거지면서 빌라 매수세는 한풀 꺾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서울 빌라(다세대·연립) 매매거래량은 약 3300건으로 올해 1월(5889건), 2월(4410건)에 비해 감소한 상황이다.

    다만 서울 외곽지역으로 분류되는 노원구·도봉구·강북구의 경우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곳의 노후 빌라들이 잇따라 몸값을 키우는 분위기다. 향후 민간정비사업 추진에 대한 기대감에 매물이 줄어든데다 매수 문의는 늘면서 호가와 매맷값이 오르고 있다는 게 인근 중개업소들의 설명이다.

    B공인중개사무소 대표는 "서울 대부분 지역에서 공공주도 정비사업에 대한 반감이 크고, 서울시장 후보들이 민간정비사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을 연일 높이고 있어 노후 빌라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크다"며 "특히 아직까지 정비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만큼 가격 부담도 상대적으로 덜해 중장기적 관점에서 서둘러 매수에 나서는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처럼 민간정비사업에 대한 기대치가 서울집값 상승을 야기하면서 자칫 부동산시장이 정부의 대규모 주택공급대책 이전으로 회귀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분양업계의 한 관계자는 "공공주도 정비사업의 신뢰도 하락과 함께 서울시장 후보들의 민간정비사업 활성화 공약으로 최근 몇달간 이어진 집값 진정세도 다시 상승 조짐을 보이고 있다"며 "이같은 상승세는 서울시장 선거이후 본격적으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 주택공급대책 효과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