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쩐루(眞露)’ 미래 중국 주류 시장 이끌 유망주로 주목1분기 수출 전년비 대비 83.8% 성장, 올해 100만상자 초과 ‘쩐루(眞露)’ 브랜드로 중국 젊은층 입맛 사로잡아
  • ▲ ⓒ하이트진로
    ▲ ⓒ하이트진로
    소주 ‘참이슬’과 과일리큐르 ‘에이슬시리즈’가 미래 중국 주류 시장을 이끌 유망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

    하이트진로는 올해 1분기 중국시장 소주류(참이슬, 과일리큐르)의 수출량이 전년 동기 대비 83.8% 성장했다고 29일 밝혔다. 

    지난해에도 전년대비 56%의 높은 성장을 기록한데 이어, 올해 ‘소주 100만 상자(상자당 30병)’ 초과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 주류 시장 내 하이트진로 판매가 급성장하고 있는 요인으로는 과일리큐르를 꼽을 수 있다. 하이트진로의 과일리큐르 수출액은 2017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연평균 117%씩 성장했다. 소주류 가운데 과일리큐르의 비중 역시 2017년 14%에서 지난해에는 53%로 늘고 있다.

    과일리큐르의 성장에는 하이트진로가 최근 젊은층의 트렌드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한 것이 주효했다는 설명이다.  

    최근 중국의 젊은 소비자들은 ‘바이주(白酒)’와 같은 중국 대표 술을 즐기는 기성세대와 달리, 가볍고 맛이 좋아 구미가 당기는 술을 다양하게 즐기고 싶어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하이트진로는 2016년부터 지속적으로 과일리큐르를 중국에 출시했다. ‘자몽에이슬’, ‘청포도에이슬’은 중국에서 ‘자몽 쩐루(眞露)’ ‘청포도 쩐루’로 불리며 젊은이들의 새로운 음주 문화로 자리잡으면서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하이트진로는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 2016년 소주 세계화 선포 이후, 주요 가정 채널과 온라인 채널 영업을 지속으로 강화, 확대하여 대부분의 할인매장과 편의점 등에서 쩐루를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주류의 온라인 판매가 허용되는 중국에서 온라인 채널 실적 역시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연평균 72%씩 성장했다.

    이외에도 한류 열풍을 활용한 젊은 층 대상의 브랜드 마케팅 활동에 집중하고 있다. 중국 대표 SNS인 웨이보를 통해참이슬 모델 아이유의 TV광고와 바이럴 마케팅을 적극 진행 중이다.

    한편, 하이트진로는 대표 제품인 참이슬 80여개국 수출을 필두로, 과일리큐르를 수출 전략상품으로 해외 영업활동에 매진하고 있다. 현재 50여개국에 과일리큐르를 수출 중이다.

    2016년 자몽에이슬, 청포도에이슬을 시작으로 2018년에는 자두에이슬을, 2019년에는 딸기에이슬을 출시해 수출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