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 최초 공개서비스에 따라 최대 4.1배까지 차이 발생지도 저장 후 이용하면 데이터 최대 59.6% 절약 가능
  • ▲ 양정숙 의원
    ▲ 양정숙 의원
    네비게이션 앱에 따라 무선 데이터 소모량의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밝혔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은 네비게이션 앱들이 데이터 유료화 이후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사용되는지 측정한 "네비게이션 앱 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를 18일 공개했다.

    측정 실험은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가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를 통해 지난 4월 20일부터 6월말까지 약 2개월간 진행했으며 ▲티맵 ▲카카오내비 ▲네이버지도 등 3종이 대상이다.

    이번 실험은 수도권(서울 서초대로~수원시 권선구, 약 24Km)과 지방(천안 아산역~아산시 인주면, 약 24Km) 구간으로 나눠, 초행길에서 3차례에 걸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다운 받는 방식'과 '미리 지도를 다운 받아 저장한 경우'로 측정했다.

    측정 결과 지도를 다운 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도권에서 운행했을 경우 평균 48.3분이 소요됐고 데이터 사용량은 네이버지도가 15.9MB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카카오내비가 9.1MB, 티맵이 6.2MB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일한 조건에서 네이버지도가 티맵에 비해 데이터 소모량이 9.7MB로 약 2.5배 많았던 것으로 확인됐다.

    지도를 미리 다운 받은 이후 측정한 결과에서도 평균 운행시간은 43분이 소요됐으며, 사용된 무선 데이터량은 티맵이 3.7MB, 카카오내비 5.5MB에 비해 네이버지도는 15.2MB로 가장 많았다. 이 경우에도 역시 티맵에 비해 네이버지도의 데이터 사용량이 11.5MB로 4.1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서의 데이터 사용량도 실시간과 지도를 저장한 경우의 데이터 사용 패턴이 수도권과 비슷하게 나타났지만, 데이터 사용량은 지도를 다운받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도를 저장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실시간으로 운행할 경우, 평균 10.4MB(3사 총 31.2MB)가 소요됐지만, 지도를 저장한 후 사용할 경우에 평균 8.1MB(3사 총 24.4MB)가 소요돼 데이터 사용량이 28.4%로 절약된 것으로 나타났다.

    양 의원은 "네비게이션들이 갑자기 유료로 전환함에 따라 소비자들은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 통신 비용마저 부담이 커질까 우려가 컸다"며 "무료 서비스로 몸집 키운 뒤 일방적으로 유료로 전환하는 서비스는 국민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라도 정부가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번 조사는 방통위가 국민들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꼭 필요한 사업으로 보인다"며 "국민의 알권리와 가계 통신비 절약 차원에서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다른 서비스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 조사까지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