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여→폐기→노쇼 허용 확대’… 만 18-30-50-30세 오락가락 지침 백신 10부제 예약률 대비 잔여백신 호황?… 4차 대유행 확산 원인의료계 “만 30세 이상 허용은 의료인 양심이 용납 불가”
-
정부가 이달 초부터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폐기물량이 많아지자 접종연령을 ‘만 50세 이상’에서 ‘만 30세 이상’으로 하향조정했다. 과학적 근거를 통해 부작용 문제를 방어하는 것 대신 잔여백신을 통해 버려지는 물량을 최소화하겠다는 목표가 세워진 것이다.18일 방역당국에 따르면 전날부터 네이버, 카카오 앱 등을 통해 만 30~49세의 AZ 잔여백신 예약을 허용했다. 예상외로 예약을 원하는 해당 연령대 국민이 많았다. 실제 잔여백신은 금새 동이났고 계속 ‘0’ 또는 ‘대기중’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현황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중앙방역대책본부가 구상한 ‘폐기물량 최소화’라는 목적은 달성한 것으로 관측된다.이달 초 잉여 물량과 폐기량이 많았던 AZ 백신이 다시 잔여백신으로 살아난 셈이다. 이 중심에는 4차 대유행 여파가 자리잡고 있다. 한 달 뒤 백신을 맞는 것보다 당장 백신을 접종하고 싶다는 의지가 투영된 것으로 해석된다.이날 AZ 잔여백신 예약을 진행 중인 40대 A씨는 “코로나 확산세가 너무 심각해 언제 어디서 어떻게 감염될지 모른다는 점이 두렵다”며 “하루라도 빨리 백신을 맞는 것이 현명하다는 판단 하에 노쇼물량을 찾고 있는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밝혔다.30대 B씨 역시 “이미 mRNA 백신을 예약했지만, 다음 달 중순이나 돼야 맞을 수 있어 잔여백신을 찾아보고 있는 실정”이라며 “AZ보다는 화이자 접종을 하고 싶은데 코로나 상황을 보면 빨리 접종하고 싶다”고 언급했다.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10부제 백신 예약률은 저조하다. 만 18∼49세 가운데 생일 끝자리가 '9·0·1·2·3·4·5'인 대상자들은 지난 9일 오후 8시부터 16일 오후 6시까지 10부제 예약을 마쳤다. 이들의 예약률은 60.3%로 정부의 최소 기대치인 70%에 못 미쳤다.
-
◆ AZ 백신, 오락가락 접종연령 변경… 의료계 경고AZ 백신은 애초에 만 18세 이상에 접종할 수 있도록 품목허가를 받았다. 하지만 해외에서 접종 후 혈소판감소성 혈전증(TTS)이 발생한 사례가 나오면서 정부는 지난 4월 접종 권고 연령을 30세 이상으로 올렸다.이후 국내에서도 TTS 환자가 나오자 7월부터는 접종 연령을 50세 이상으로 올렸다. 이달 초 60~74세 미접종자 126만9000명을 대상으로 접종을 시작함과 동시에 폐기량이 늘면서 만 50세 이상이었던 접종 연령을 다시 만 30세로 낮췄다.즉, AZ 백신의 접종연령대는 만 18세, 만 30세, 만 50세, 만 30세로 변경된 것이다.이러한 정부의 지침을 두고 의료계는 심각한 우려를 표했다. 부작용 문제가 명확한데도 물량 폐기 최소화라는 목적을 둔 정부의 정책을 따르기가 어렵다는 이유에서다.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AZ 백신 접종 권고 연령은 만 50대 이상으로 잡았으면서 희망자에 한해 만 30세 이상도 잔여백신 기회를 부여한다는 무책임한 지침을 허용한 것은 큰 문제가 도사리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의협은 “질병관리청이 지난 11일에 발표한 ‘주간코로나19 예방접종후 이상반응 보고서’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50세 미만에서 AZ 2차 예방접종은 타 백신에 비해 예방적 효과 대비 백신 관련 이상 사건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지적했다.저명 학술지인 란셋에서도 영국, 미국, 스웨덴 데이터를 분석했는데 55세 이하에서 AZ 백신은 접종률 대비 부작용 비율이 월등히 높다는 결과를 내놓은 바 있다.의협은 “잠재적인 위험성이 더욱 높은 50세 미만 인구에 대한 백신 접종 필요성 논의가 더 필요하다”며 “정부는 전문가와의 소통을 통해 적절한 권고한 다시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대한내과의사회는 더 강도 높은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의사회는 “접종 후 TTS 문제로 만 50세 이상으로 접종 연령을 올렸는데 만 30세 이상 희망자에게 허용한다는 것은 의료인의 양심으로 도저히 용납할 수 없다는 것”이라며 “원칙에 입각한 코로나19 백신접종 정책 수립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이어 “하루에도 몇 번씩 바뀌는 지침들이 문자와 메일로 전달되니 접종하고 있는 중에도 혹시나 잘못된 접종을 하고 있지 않나 노심초사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행정편의 위주의 지침 번복과 일방 통행식 업무처리 방식으로 일선 접종기관의 불만은 극에 달하고 있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