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분양가, 시세 대비 평당 1502만원 낮아
  • ▲ ⓒ부동산R114
    ▲ ⓒ부동산R114
    지난해 아파트 분양가와 매매시세 편차가 가장 크게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과 서울의 3.3㎡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각각 1313만원, 2798만원으로 조사됐다. 반면 평균 아파트 시세는 전국이 2233만원, 서울이 4300만원에 달했다.

    시세와 비교한 분양가 수준이 전국은 920만원, 서울은 1502만원 저렴한 수준이다. 국민평형인 전용 85㎡ 기준으로 시세와 비교할때 분양가 수준이 3억~5억원 저렴했다는 의미다.

    서울의 경우 2016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3.3㎡ 당 124만원 비쌌던 반면 2017년에는 117만원 더 저렴했다. 이후의 편차(분양가-시세)는 2018년(-40만원), 2019년(-543만원), 2020년(-1094만원), 2021년(-1502만원) 등으로 꾸준히 벌어졌다.

    이밖에도 3.3㎡당 분양가가 시세보다 싼 지역은 ▲세종(-892만원) ▲경기(-643만원) ▲부산(-182만원) ▲대전(-158만원) ▲인천(-86만원) 등 서울 포함 6개 지역으로 확인됐다. 대부분이 투기과열지구나 조정대상지역인 곳으로 규제지역에서의 분양가 통제 강도가 더 컸다고 해석할 수 있다.

    현정부는 2017년 8.2대책을 발표하며 고분양가가 주변집값을 자극한다고 판단 적극적인 분양가 관리 의지를 나타냈다. 이후 HUG(주택도시보증공사)와 지자체의 승인 권한을 통해 분양가 통제에 나섰다. 

    또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상한제 도입으로 시세 대비 일정 수준 이하로 분양가를 제한하면서 2019년부터 역대 최대 수준으로 가격 편차가 벌어졌다는 게 부동산R114 측 설명이다.

    윤지해 부동산R114 수석연구원은 "낮은 분양가를 통해 시세를 안정시키기 위해서는 수요를 넘어서는 초과공급이 이어져야 하지만, 오히려 낮은 분양가 책정으로 인해 도심 내 재개발, 재건축 등의 정비사업이 위축돼 공급이 원활하게 이뤄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이어 "지난해 말부터 일부 지역은 청약이 미달되거나 경쟁률이 낮아지는 양극화된 모습을 보이고는 있지만 무주택 실수요자의 청약 경쟁은 2022년에도 치열하게 전개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