곧 7~8배 한도 임박CP 발행, 부채 인식카드사 CEO들, 배율 완화 건의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최근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조달금리 상승으로 카드사들의 레버리지 배율이 갈수록 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당국의 모니터링이 강화될 수 있는 만큼 카드사들은 올 하반기 영업자산을 늘려 경쟁하기에는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여신금융협회에 등록된 7개 전업카드사(신한·KB국민·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카드)의 지난 1분기 기준 레버리지 배율은 평균 5.7배로, 지난해 말 5.2배에서 0.5배포인트(p) 상승했다.

    레버리지 배율은 자산을 자본으로 나눈 값으로, 자산에 대한 자기자본의 손실완충력을 평가하는 지표다. 자본이 많을수록 레버리지 배율은 낮아지고 손실완충력이 높다고 평가된다.

    금융당국은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과도한 외형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레버리지 배율 한도 규제를 가하고 있다. 현행상 카드사의 경우 8배로 제한하고 있으나 배당성향이 30%보다 높은 카드사에 한해 7배로 한도를 강화해 적용한다.

    카드사별로 우리카드가 6.7배로 가장 높은 가운데 ▲롯데카드 6.7배 ▲현대카드 6.3배 ▲KB국민카드 5.9배 ▲신한카드 5.9배 등의 순으로 높다.

    아직 금융당국의 규제 수준인 8배를 밑돌고 있지만 일부 카드사는 위험수준에 근접해 있다. 특히 배당성향이 30%를 웃도는 KB국민카드나 신한카드의 경우 1.1배 정도의 여유밖에 없다.

    무엇보다 올해 들어 카드사들의 기업어음(CP) 발행 움직임이 활발해지고 있는 점도 레버리지 배율 상승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CP는 차입금이기 때문에 레버리지 배율 산정에 있어서 부채로 반영된다. CP 발행이 증가하면 총자산 중 부채 비율이 늘어나면서 레버리지 배율도 상승하는 것이다.

    특히 우리카드나 롯데카드의 경우 레버리지 배율이 이미 다른 카드사들 대비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CP 발행 증가가 레버리지 배율 관리 부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카드사 CEO들은 지난 5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을 만난 자리에서 레버리지 배율 완화를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간담회에 참석한 카드사 대표는 "레버리지 배율의 전면적인 개편을 요청한게 아니다"라며 "현 시점에서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레버리지 배율에 대한 규제 완화를 건의한 것"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금융당국은 가계대출 규제에 포함되지 않는 결제성 리볼빙과 자동차 할부 등의 모니터링을 강화한다는 방침이어서 올 하반기 카드사의 영업환경이 더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

    카드사 한 관계자는 "가맹점수수료가 계속 인하되는 상황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선 리볼빙이나 할부금융·리스 등 자산 취급액을 확대할 수밖에 없다"며 "다만 하반기에는 조달 부담이 상반기보다 더 늘어나기 때문에 영업확장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