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3조 코로나 대출 연장유예 촉각다중채무 저신용·저소득자 많아 리스크 커충당금 부담도 가중… 연체율 급등 전망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금융당국이 오는 9월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 상환유예 제도를 종료할 예정인 가운데 2금융권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유예 조치가 끝나면 그간 숨어있던 연체율이 급등할 수 있어서다. 게다가 금융당국은 부실 우려에 대비해 선제적 충당금 적립을 요구하고 있어 2금융권은 이중 삼중고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카드·캐피탈사와 저축은행 등 2금융권에 적용된 중소기업과 자영업자 대출을 중심으로 한 상환유예 제도가 오는 9월말 종료될 예정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지난 11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로나19 금융지원과 관련해 "기본적으로는 예외적 상황을 끌고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이를 지속하는 것이 과연 차주에게 도움이 되는지, 또는 문제가 더 커지는지 알기 어렵다"고 말했다.

    취약차주 대출 상환유예 제도를 연장하는 것에 일단 선을 그은 것으로 풀이된다. 코로나19 금융지원은 2020년 4월부터 6개월 한시 프로그램으로 진행돼왔으나 그동안 네 차례나 연장되면서 금융권 잠재부실을 계속 키운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금융당국에 따르면 자영업자·소상공인 채무는 지난해 말 기준 916조원(263만명)에 달한다. 특히 대출 만기연장·원리금 상환유예 조치를 받는 대출 잔액은 133조4000억원에 이른다.

    하지만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만기연장 조치 등으로 올 3월 말 기준 0.45%에 그쳤다. 빚으로 버티는 자영업자는 늘었지만 연체율은 수치로만 보면 건전해 보인다.

    자영업자나 소상공인에 대한 해당 지원 조치가 끝나면 빚 못 갚는 자영업자가 속출하면서 연체율이 단숨에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특히 카드사를 포함한 여전사의 취약계층(다중채무이면서 저신용·저소득자)은 업권 내 가계대출의 64.6%를 차지한다. 저축은행도 3개 이상의 금융회사에 빚을 진 다중채무자 비중이 지난 5월말 기준 7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채무자는 다수의 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렸다는 사실 자체가 상환능력이 취약함을 의미하는 데다 지금과 같은 금리 인상기에는 이들의 이자 부담이 가중된다. 잠재적으로 부실 대출이 발생하거나 연쇄부실이 발생할 확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

    결국 금융당국은 취약계층의 연체율 급증에 대비하기 위해 선제적 충당금 적립을 요구하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2금융권 CEO를 만나 공통으로 대손충당금 적립을 통한 유동성 확보를 주문한 것이 대표적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금융당국이 금융사들에 충당금 적립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하반기 이후 금융기관의 충당금 적립은 확대될 것"이라며 "비교적 취약차주가 많은 2금융권은 코로나19 금융지원 조치 등이 종료되면 그동안 감춰진 부실이 드러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