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분기까지 물가 5% 상회""국민고통 잘 알지만 불가피""11월 빅스텝은 불확실… 美 FOMC 보고 결정""내년 성장률 2.1% 못 미칠 것"
  •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서 질의응답을 받고 있다. ⓒ한국은행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기자간담회서 질의응답을 받고 있다. ⓒ한국은행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기준금리 0.5%p인상한 빅스텝을을 발표하며 최종 기준금리로 3.5% 수준으로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연내 사실상 또 한 번의 빅스텝을 예고한 것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의 통화정책방향 회의 직후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최종금리가 3.5% 수준인지에 관해 다수 금통위원들이 크게 다르지 않은 견해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이 총재는 "다만 그보다 낮게 보고 계신 일부 위원도 있다"면서 여러 가능성을 열어뒀다. 

    이날 한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금리 수준은 2.5%에서 3%로 껑충 뛰어올랐다. 금통위 회의 과정서 신성환, 주상영 위원은 소수의견으로 0.25%p 인상을 주장했다. 

    이 총재는 11월 인상폭은 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시장상황을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7월엔 금통위원들 간 컨센서스가 있었으나 지금은 힌트를 드릴 수 없다"면서 "금통위원들 대부분 불확실성이 워낙 심하다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 "경기 희생해서라도 금리 인상해야"

    물가 상승세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점도 거듭 강조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5%대라면 원인이 수요측이든, 공급측이든 경기를 희생하던지 간에 금리 인상 기조를 가져갈 것"이라 강조했다. 그는 "현재 물가 전망에 따르면 내년 1분기까지 5%를 상회하는 물가 오름세가 지속할 것"이라 했다. 

    이 총재는 "물가 상승률이 5%대가 되면 기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고 우리나라에 더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면서 "물가 오름세를 꺾기 위해 물가 중심으로 경제를 운영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그는 "가파른 금리인상 과정에서 국민 대부분의 고통이 가중된다는 사실을 잘 안다"며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이해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번 기회에 부동산 가격이 조정되고 가계부채율이 조정되는 측면도 있다"며 "고통에 대해선 죄송하지만 거시 경제 전체를 봐서는 안정에 기여하는 면도 있다고 본다"고 했다.
  • ▲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2.5%에서 3.0%로 인상했다. ⓒ한국은행
    ▲ 12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기존 2.5%에서 3.0%로 인상했다. ⓒ한국은행
    ◆ 급격한 원화절하도 빅스텝 배경

    또 이날 빅스텝 단행에 배경에 원/달러 환율 급등도 작용했음을 밝혔다. 이 총재는 "원/달러 환율 때문만은 아니지만 환율에 대한 고려, 9월 급격한 원화 절하가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는 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금리 인상에 따라) 물가 상승률이 떨어지는 경로를 상당기간 지속시킬 수 있다"면서 "미국과 금리차가 크게 벌어지면 외화 유출이 일어날 수 있는 등 (글로벌 금융 충격이) 국내 금융시장으로의 전이 가능성 등도 고려했다"고 했다. 

    이어 "현재 전세계에서 일어나는 환율 변동은 기본적으로 강달러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으나 큰 틀의 흐름은 미국의 긴축 기조가 어떤 속도로 어떻게 갈 지에달린 변동성이 굉장히 큰 상황"이라고 했다. 

    아울러 이번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경제성장률이 0.1%p 전후로 내려갈 것으로 내다봤다. 또 가계와 기업을 포함한 이자 부담은 12조2000억원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 총재는 "지난해 8월부터 금리가 250bp 올랐는데 물가에 대한 영향은 시차가 있다"면서 "1년 정도 지났으니 계량모델에 따르면 물가 상승률을 1%p 이상 낮출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내년 경제성장률은 기존 전망치인 2.1%보다 하회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