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금리차 1.75%p '역대 최대'"필요할 경우 시장안정 조치"연준 스탠스 주시… 금리대응 유연하게
  • ▲ 4일 오전 추경호 부총리(오른쪽)와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왼쪽)가 미 금리 인상에 따른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행
    ▲ 4일 오전 추경호 부총리(오른쪽)와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왼쪽)가 미 금리 인상에 따른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은행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함에 따라 우리 당국도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소집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정부와 한국은행 등은 양국 간 금리 격차 확대에 따른 변동성에 적극 대응하고 필요할 경우 '컨틴전시 플랜(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시장 안정 조치를 시행하기로 뜻을 모았다. 

    4일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관계기관 합동 '비상거시경제금융회의'를 주재하고 미 금리 인상에 따른 국내외 금융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향을 논의했다. 

    이날 회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등이 참석했다. 현재 송도에서 아시아개발은행(ADB) 연차총회가 열리고 있어 회의는 '컨퍼런스콜(원격)' 형식으로 이뤄졌다.

    추 부총리는 "내외 금리차가 확대된 상황서 금융·외환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과 시장 교란행위 및 쏠림 현상에 의한 변동성 확대 우려가 함께 있어 각별한 경계감을 갖고 현 상황에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한국은행 등 관계기관은 국내외 금융시장에 대한 모니터링을 한층 강화하고 우리 금융시스템의 취약부문을 철저히 점검, 필요시에는 상황별 대응계획에 따라 시장 안정조치를 신속하게 시행해 나갈 것"이라 했다. 

    다만 정부와 한은은 연준이 '조건부 금리인상 중단'을 시사한 점은 우리 금융·외환시장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봤다. 

    미 연준은 3일 현지시각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열고 베이비스텝(0.25%p)을 단행해 미 정책금리 수준은 5.00~5.25%p까지 치솟았다. 

    최근 두 차례 기준금리를 동결한 우리나라(3.50%)와 금리 격차는 최대 1.75%p까지 벌어졌다. 양국 간 이러한 금리 격차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국내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과 원화가치 절하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 상승은 수입 물가를 끌어 올려 가까스로 진정된 물가를 다시 상승세로 전환시킬 수 있다. 

    다만 한은이 당장 쫓기듯 금리 인상에 나서진 않을 전망이다. 

    이승헌 한은 부총재는 FOMC 이후 열린 한은 '시장상황 점검회의'에서 "이번 결정으로 연준의 금리인상 사이클이 마무리 단계에 다가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파월 의장이 향후 경제지표에 따라 금리를 결정할 것이라고 언급하고 연내 금리인하 가능성을 부인한 점에도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아울러 "연내 정책기조 전환 가능성 등에 대한 연준의 스탠스와 시장기대 간의 괴리가 지속되는 등 향후 통화정책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가운데 미국 은행 불안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도 상존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