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외 구조적 변화""고령화, 해외투자 증가 등 고유요인도""원화 약세지만 자본유입 급격하게 안 줄것"
-
서영경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이 원/달러 환율이 코로나19 이전인 1100원대로 돌아가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원화 약세로 인한 자본 유출 위험을 적으나 물가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보다 높아졌다고 평가했다.서 위원은 2일 한국은행(BOK) 국제 콘퍼런스 패널토론에 참여해 '팬데믹 이후 뉴 노멀: 환율 변동의 파급 경로 변화'를 주제로 한 발표에서 이같이 말했다.서 위원은 "환율은 지난해 이후 달러 강세라는 글로벌 요인과 무역수지 흑자 축소, 해외투자 증가라는 한국 고유요인에 의해 약세를 보이고 변동성도 증가했다"고 진단했다.이어 "배경에 경기적 요인뿐 아니라 대중국 경쟁 심화, 인구 고령화, 기업·가계의 해외투자수요 확대 같은 구조적 변화가 작용하고 있어 환율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하락하기 어려울 전망"이라고 밝혔다.그는 무역수지와 자본이동 두 측면을 고려했을 때도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가 과거와 달라졌다고 평가했다.서 위원은 "과거와 비교해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는 약화됐지만 대신 자본 이동을 통한 환율의 자동안정화 경로 측면은 과거보다 강화됐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또한 원화 약세와 변동성이 커졌으나 자본유입이 급격하게 줄어들 가능성은 낮게 봤다. 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은행 부문의 단기외채 감소와 민간 대외자산 증가로 우리 경제의 '통화불일치(currency mismatch)' 문제가 크게 완화됐다"고 밝혔다.이어 "장기외채는 최근 외국인의 국내채권 투자 확대로 증가하면서 이들 자금이 원화 절하와 내외금리차 확대에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으나 한국 경제의 펀더멘탈에 기초한 장기투자가 많다는 점에서 이러한 우려도 크지 않다"고 했다.그는 무역수지를 통한 환율 안정화 기능이 약화된 만큼 무역수진 개선을 위해 ▲수출경쟁력 강화 ▲수출시장 다변화 ▲중간재 수입 대체와 같은 구조적 노력을 강조했다.아울러 "자본 수지를 통한 환율 자동안정화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선 해외직접투자의 배당금 환류 여건 개선, 외국인의 국내증권투자 유인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