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포조선과 베트남국영조선공사간 합작사
  • ▲ 현대베트남조선 전경. ⓒHD현대
    ▲ 현대베트남조선 전경. ⓒHD현대
    현대베트남조선(HVS)은 최근 아프리카 소재 선사로부터 석유제품운반선(PC선) 2척을 수주하며 신조선 사업진출 15년 만에 누적 199척을 수주했다고 14일 밝혔다.

    1996년 현대미포조선과 베트남국영조선공사간 합작회사 형태로 설립된 현대베트남조선은 수리·개조 사업을 영위해 오다가 2000년대 후반 신조선사업으로 전환했다.

    이후 현대베트남조선은 2009년 5만6000톤(DWT)급 벌크선 ‘E.R 베르가모’호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모두 157척의 선박을 인도했으며 동남아 최대 조선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조선업 해외 진출의 첫 성공사례로 평가받는다. 

    이는 현대미포조선에서 파견된 엔지니어 60여명이 상주해 생산공정 전반에 걸쳐 모기업과 동일한 안전·품질관리 체계를 적용함으로써 이뤄낸 성과라고 회사는 설명했다.

    베트남 중부 칸호아성에 소재한 현대베트남조선은 99만2000여㎡(약 30만평)의 부지에 40만톤(DWT)급 도크 1기와 10만톤(DWT)급 도크 1기, 1.4Km의 안벽을 보유하고 있으며 약 5000명에 달하는 베트남 현지 근로자들이 근무하고 있다.

    베트남은 조선업 세계 5위 국가로, 수주잔고 124만 CGT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베트남조선이 이 가운데 74.4%인 92만4000CGT를 차지하고 있다.

    올해 매출 목표 5억4380만 달러, 총 13척의 선박을 인도할 계획인 현대베트남조선은 지난해 700톤급 골리앗 크레인을 신설했다. 앞으로도 지속적인 설비 확장과 생산성 향상을 통해 2025년에는 20척 건조 체제로 성장할 계획이다.

    이종찬 현대베트남조선 대표는 “이번 성과는 현대미포조선의 지속적인 기술·노하우 전수와 더불어 베트남 현지 근로자들의 높은 교육열과 근면성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우리나라 조선산업을 대표한다는 마음으로 임직원 모두 한마음 한뜻으로 노력해 현지 지역사회에도 꾸준히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