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부터 육상 양식 기술 진행계절 영향 없이 수확 가능… 갯병 예방 효과도플랜튜드서 육상 양식 김으로 만든 메뉴 선봬
  • ▲ ⓒ풀무원
    ▲ ⓒ풀무원
    풀무원이 육상 김 양식 상용화를 위한 첫발을 내딛었다고 14일 밝혔다.

    풀무원은 해수온 상승과 영양염 고갈, 잦은 태풍 등으로 해상양식을 통한 양질의 김 확보가 어려워지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2021년부터 육상 양식 기술 개발을 진행해왔다.

    육상 김 양식은 김을 육지에서 양식하는 기술로, 바이오리엑터(생물 반응조)로 불리는 큰 수조 안에서 김을 재배하고 수확해 상품화하는 방식이다. 철저한 관리 하에 김을 재배해 갯병 감염을 예방할 수 있고, 사계절 내내 김 재배가 가능한 만큼 생산성이 높아 미래 김 양식 산업의 중요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현재 풀무원은 충북 오송에 위치한 풀무원기술원에서 올해 3월 육상수조식해수양식업 허가를 취득하고, 허가 받은 시설 내에서 월 10㎏ 이상의 육상 양식 물김을 생산하고 있다.

    풀무원은 비건 인증 레스토랑 ‘플랜튜드’ 코엑스점에서 육상 양식 물김을 활용한 메뉴도 선보인다. ‘들깨물김칼국수(1만3000원)’은 육상 양식 김과 다양한 야채를 푹 우려내 육수를 내고 육상 양식 김을 갈아 넣어 시원함이 가득한 국물을 완성했다는 설명이다. 

    풀무원 관계자는 “이번 육상 양식 물김이 들어간 메뉴 제공은 소비자 조사와 인식제고를 목적으로 하는 시장 테스트인 동시에 육상 김 양식 기술 상용화를 위한 첫걸음이라는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