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감독 '상호금융지원팀', 금융안정TF 내 마련하반기 조직 개편서 별도부서로 신설 검토'관리사각지대' 새마을금고, 건전성 감시 강화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예금보험공사가 건전성 우려가 커진 새마을금고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기 위한 조직개편을 추진한다.

    금융당국의 상호금융 규제 강화 방침에 따라 새마을금고를 감시해야 하는 예보의 역할도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예보는 올해 하반기 조직개편 때 새마을금고 감독 전담조직인 상호금융지원팀을 실급으로 격상시키고 인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최근 발표한 ‘부동산PF 연착륙 방안’을 통해 평가기관에 새마을금고를 포함하는 등 위기가 고조되고 있는 점을 고려해 통상 7월 중순 단행하던 하반기 조직개편 시기도 예년보다 앞당겨질 전망이다.

    예보는 지난해 새마을금고 감독 전담 조직을 설치한 뒤 지난 달 처음으로 금감원, 새마을금고 중앙회와 함께 공동 검사를 진행한 바 있다.

    새마을금고는 서민금융기관이지만 행정안전부 소관이라 금융당국의 관리에서 벗어난 사각지대에 놓여있었다. 특히 예보가 예금을 보호하는 업권도 아니다.

    그럼에도 예보가 새마을금고에 대한 검사에 나선 것은 지난 2월 금융위원회와 행안부가 감독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데 따른 것이다.

    새마을금고 검사를 진행한 예보의 상호금융지원팀은 금융안정TF 내에 5명 안팎의 소규모로 구성돼 아직까지는 임시조직 형태를 띄고 있다. 

    예보는 하반기 조직개편에서 상호금융지원팀을 확대해 정규조직으로 편성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금융당국이 새마을금고에 대한 상시 감독과 경영 건전성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어 향후 관련 업무가 늘어나는 것에 대비할 필요가 있어서다.

    금융위는 행안부와 새마을금고 감시‧감독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데 이어 이달 상호금융정책협의회를 열고 상호금융 업계의 건전성 제고를 위한 제도 정비에 나섰다.

    예보 관계자는 “새마을금고 관련 조직 확대를 검토 중이지만 확정되진 않았다”면서 “필요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뱅크런 위기에 이어 연초 연체율 급증으로 자산 건전성 관리 문제에 직면하는 등 크고 작은 잡음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7월 초 남양주동부새마을금고가 600억원대의 부실 대출을 감당하지 못해 인근의 다른 금고와 합병하기로 결정하면서, 불안감을 느낀 고객들이 앞다퉈 예금을 인출하는 뱅크런 사태가 발생했다. 당시 새마을금고의 수신 잔액은 불과 한 달 만에 약 18조원 급감했다.

    또 지난 2월 기준 연체율이 7%대까지 상승했음에도 전국적으로 약 4800억원 수준의 배당에 나선 것으로 드러났다. 이어 자금을 횡령한 새마을금고 직원이 잇따라 적발되는 등 각종 비리 또한 수면 위로 드러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