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 위성 예타 3수만에 통과, 사업성 부족 발목UAM·자율주행 등 B2B 영역 한정, 상업성 낮아향후 경쟁 대비 기술확보, 해외진출 차원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6G 이동통신 핵심 인프라로 저궤도 위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활용 범위가 기업 간 거래에 한정되면서 국내 사업성에 의구심이 커지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사업’이 지난달 23일 예비타당성조사(이하 예타)를 통과했다. 저궤도 위성은 300~1500km 궤도에서 지구 주변을 돌며 이동통신 등 임무를 수행하는 기체다. 크기는 2m 내외, 한 기당 가격은 50억원 정도다.

    KISDI에 따르면 글로벌 저궤도 위성 서비스 시장 규모는 올해 40억 달러(약 5조4800억원)에서 2028년 171억 달러(약 22조2000억원)로 연평균 33.7% 성장세가 예상된다. 수천, 수 만개의 통신위성을 배치해 광대역 인터넷을 제공하는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를 통해 관련 사업이 주목받는 추세다. 위성통신 시장은 2030년 2162억 달러(약 290조원) 규모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된다.

    국내에서 저궤도 위성과 관련된 예타는 2021년부터 3수 끝에 선정된 뒤 이번에 통과하게 됐다. 총 사업비는 3199억원으로 처음 책정한 4800억원 대비 약 25% 축소된 모습이다.

    예타는 통과됐지만, 독자 위성망 구축은 별개다. 앞서 정부는 스타링크의 국내 진출 발표에 따라 통신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해 검토하기도 했다. 아직 진출을 허용한 것은 아니지만,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적을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다.

    국내는 이미 촘촘한 유·무선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도심지역 뿐만 아닌 농어촌까지 전국망을 구축한 상태로, 위성 통신을 사용할 유인이 적다. 위성 통신이 주목받는 국가는 미국과 중국, 호주처럼 국토 면적이 넓어 광대역을 대응해야 하는 곳이다.

    향후 표준화를 통해 위성 통신이 B2C에 적용되더라도 문제는 가격이다. 초기 투자 비용이 큰 만큼 높은 가격이 책정될 수밖에 없다. 기존 무선망의 커버리지를 늘리는 차원에서 위성 통신을 추가하는 방식이 거론되지만, 높은 품질의 통신을 사용 중인 소비자들이 값비싼 위성 통신 요금제를 이용할 가능성은 낮다는 것이 중론이다.

    전문가들도 예타 통과가 저궤도 위성을 국내 시장에 직접 활용하기보다는 해외 시장 진출과 6G 기술 확보에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한다. 국내에서 상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한 요건은 아직 부족하다는 데 의견이 모아진다.

    홍인기 경희대 전자공학과 교수(前 한국통신학회 회장)는 “(예타 통과는) 자율주행, UAM과 방산 등 기술 개발과 경쟁우위 확보 차원”이라며 “독자적으로 보유한 위성이 있어야만 테스트를 통해 검증할 수 있고, 성능을 인정받아야 해외에 납품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