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이어 집단행동 결의 서울아산·삼성서울·서울성모도 곧 결정주요 병원 교수들 오는 18일 의협 총궐기대회 참석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의대 교수들이 의대증원 반대를 위한 '전면 휴진'을 선언하고 있다. 특히 생사를 오가는 중증환자에게 치료 종착지 역할을 하는 '빅5 병원'을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어 우려가 커진다. 환자들은 "파업 대신 환자 곁으로 오라"며 호소하고 있지만 매몰차게 거절당하고 있는 형국이다. 

    연세의대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12일 전체 교수의 의견을 수렴해 오는 27일부로 무기한 휴진하겠다고 선언했다. 

    비대위는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총 735명의 교수가 응답한 설문에서 무기한 휴진하겠다는 응답이 531명(72.2%)에 달했다고 밝혔다. 그렇게 하지 않겠다는 응답이 204명(27.8%)에 그쳤다.

    또 비대위의 무기한 휴진 실행방안을 지지하고 동참하겠다는 응답이 448명(61.0%), 실행방안 사안별로 결정하겠다는 응답이 219명(29.8%), 그렇지 않겠다는 응답이 68명(9.2%)이었다.

    세브란스병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용인세브란스병원 등을 수련병원으로 둔 교수들의 집단행동이 예고된 셈이다.

    비단 연세의료원 차원에서의 문제가 아니다. 앞서 서울대병원은 오는 17일부터 수술 중단 등을 결정했고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성모병원 소속 교수들도 휴진과 관련한 비대위 투표를 예고한 상태다. 

    이들 빅5병원 교수는 물론 고대의대 교수들도 오는 18일 예정된 대한의사협회 총궐기대회에 참석하는 것으로 중지를 모았다. 여기서 멈추지 않고 연속성을 띠고 파업을 강행할 여지가 있다. 

    의료계는 의대증원 원점 재검토를 위한 투쟁을 벌이고 있지만, 대국민 여론은 의사 확충이 의료개혁의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의료공백에 따른 피해는 환자에게 돌아가는 구조가 됐다.

    의정 갈등의 격화하는 가운데 이날 중중환자들은 서울대병원 앞에서 "파업을 중단하고 자리를 지키라"고 호소했다. 

    김성주 중증질환연합회장은 "의사들은 히포크라테스 선서도 무시하고 집단이기주의에 함몰돼 단체행동을 벌이고 있다. 이것이 밥그릇 챙기기가 아니고 무엇이냐"며 "필수의료와 미래의료를 걱정한다면서 당장 목숨을 잃어가는 환자를 버리는 행위를 어떻게 이해해야 하냐"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