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업결손 보충 가능한 탄력적 대학 운영 방안 요구의대생 불이익 없게 국시 연기나 추가 시험 요청도
  • ▲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시스
    의과대학을 운영하는 대학교 총장들이 의대생의 국가시험 불이익 방지와 집단유급 예방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건의문을 교육부에 전달했다.

    '의과대학 정상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12일 '의대 교육을 다시 정상화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갈등 상황을 더는 보고 있을 수 없다'는 내용을 담은 건의문을 발표했다.

    의총협은 건의문을 통해 "의대 학생 수업 복귀, 의대 교육 정상화 및 선진화에 장애가 되는 각종 제도와 정책이 있는 경우 의총협의 건의 및 제안을 적극 반영해 개선 방안을 마련하라"고 촉구했다.

    의총협은 전공의와 의대생 등의 복귀 방안 마련도 요청했다. 의총협은 "전공의 복귀가 학생 복귀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상황을 인식하고 의대교육 정상화의 시급성을 고려해 전공의 복귀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라"고 했다.

    이어 "대학이 기존 학사운영의 틀에 매이지 않고 탄력적으로 수업을 운영해 수업결손을 보충함으로써 유급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의총협은 의대 교육을 위한 재정 마련도 요청했다. 의총협은 "국·사립 구분 없이 모든 의대가 기술 발전과 변화하는 사회 환경에 부합하는 세계적인 수준의 의학교육을 할 수 있도록 의과대학에 대한 안정적인 행·재정지원을 약속하라"며 "학생과 교수 등 대학 구성원이 향후 정부의 의대 교육 선진화 및 의료개혁 논의에 공식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 달라"고 했다.

    특히 수업 복귀 학생들이 정상적으로 교육과정을 이수해 의료계에 진출할 수 있도록 의사 국시 응시와 관련한 불이익 방지 조치를 마련해 달라고도 했다.

    의사 국시를 주관하는 보건복지부가 시험 일정을 연기한다거나 추가 시험 등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지만, 졸업을 앞둔 의대 본과 학생들이 불이익이 없도록 국시 연기나 추가 시험 등을 검토해야 한다는 취지다.

    의총협은 학생들에 대해서도 당부의 말을 전했다. 의총협은 "학생들이 교육의 주체로서 정부의 정책과 대학의 교육여건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이에 대해 의견을 개진하는 점은 존중받아야 하고 권장돼야 한다"면서도 "의대 교육을 다시 정상화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고 어떤 상황에서도 배움은 지속돼야 한다"고 독려했다.

    이어 "우리는 대학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자로서 그 어느 때보다 절박한 심정으로 학생들의 복귀를 요청한다"며 "의대에 진학하면서 처음 마음에 품었던 소중한 뜻을 다시 한번 생각해 주고 환자들을 위해 헌신하겠다는 그 벅찬 다짐을 떠올리며 학교로 돌아와 주기 바란다"고 호소했다.

    의총협은 홍원화 경북대 총장의 제안으로 의대 정원이 늘어난 전국 32개 대학 총장이 모인 협의체다.

    이달 4일 첫 회의를 개최한 이후 회장단이 7일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을 만나 의대생 수업 복귀 방안을 논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