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대비 1.6% 증가한 2억4427만원… 388만원 늘어가계 순자산 중 부동산 비중 75.5%…전년 比 1.6%p↓국부, 2.1% 늘어난 2경3039조, 통계 편제 후 증가율 최저
  • ▲ ⓒ뉴데일리
    ▲ ⓒ뉴데일리
    지난해 부동산 가격이 하락했지만 주가 반등으로 금융자산이 늘면서 1인당 가계 순자산이 소폭 증가했다. 

    비금융자산 하락으로 경제주체들이 보유한 전체 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도 2.1% 늘어나는 데 그쳐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가계‧비영리단체 순자산 소폭 증가… 1인당 가계순자산 2억4427만원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8일 발표한 '202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작년 말 기준 1인당 가계순자산은 2억4427만원으로 추정됐다.

    2022년 말(2억4039만원)에 비해 1.6% 늘어나는데 그쳤다. 

    1인당 가계순자산은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1경2632조원)을 추계인구(약 5171만명)으로 나눈 것이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지난해 1경 2632조원으로 감소에서 소폭 증가(1.7%)로 전환했다. 국민순자산의 54.8% 수준이다. 

    이는 주택자산(-2.3%)을 중심으로 비금융자산이 감소(-0.4%)한 반면, 주가 반등 등으로 금융자산(4.7%)이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금융자산은 지분증권과 투자펀드 부문에서 지난해 161조원 늘었다.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국민BS팀 김민수 팀장은 “금융부채 중 지분증권과 투자펀드가 전년대비 450조원 늘었는데 이는 주가상승 영향으로 비금융법인의 부채로 인식되는 발행 지분증권이 크게 늘어났다”며 “금융자산 중 현금과 예금은 전년대비 125조원 늘고, 주가 상승의 영향을 지분증권과 투자펀드도 161조원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순자산은 주택이 50.3%로 가장 컸고, 주택 외의 부동산은 25.2%, 현금과 예금은 19.1%, 보험과 연금이 11.5% 순이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 대비 부동산(주택+주택 이외) 비중은 지난해 75.5%로 전년(77.1%) 대비 소폭 감소했다. 
  • ▲ ⓒ한국은행
    ▲ ⓒ한국은행
    ◇국민순자산 2.1% 증가 그쳐… 주택자산 38조원 감소

    가계와 비영리단체뿐 아니라 금융·비금융법인, 일반정부의 순자산을 모두 더한 '국민순자산'은 지난해 말 2경3039조원에 이르렀다.

    1년 전(2022년 말)보다 472조원(2.1%) 늘어 역대 최대를 경신했지만, 증가율(2.1%) 자체는 지난 2008년 통계 편제 이후 가장 낮았다.

    지난해 국민순자산 증가분 중 비금융자산은 442조원, 순금융자산은 30조원 늘었다. 

    국민순자산 규모는 명목 국내총생산(2401조원)의 약 9.6배로, 배수가 전년(9.7배)보다 낮아졌다.

    국민순자산 증가 폭이 둔화한 것은 부동산 가격 하락으로 비금융자산의 명목보유손익이 감소하는 등 자산가격 변동에 따른 거래외 요인에 따른 것이다. 

    국민순자산의 증감 요인을 보면 자산순취득(거래요인)은 전년수준을 유지했으나 명목보유손익이 낮은 수준을 지속하고 금융자산의 거래외 증감이 이익에서 손실(-17조원)로 전환했다. 

    명목보유손익은 주거용건물 부속토지를 중심으로 토지가격 하락세(-1.3%)가 지속되며 낮은 수준을 지속했다. 
  • ▲ ⓒ한국은행
    ▲ ⓒ한국은행
    금융자산의 거래외 증감은 국내‧외 주가 상승과 환율 변동 등에 따른 영향이 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자산)보다 비거주자의 평가이익(대외금융부채)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감소로 전환했다. 

    지난해 부동산(토지+건물) 자산은 전년 대비 1.2%(207조원) 증가한 1경 6841조원으로 나타났다. 비금융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소폭 감소(0.6%포인트)했다. 

    김민수 팀장은 “주택가격 하락 영향으로 지난해 주택시가총액(6839조원)이 2022년에 이어 감소세를 지속해 GDP대비 배율이 3.0에서 2.8로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토지자산(1경2093조원)도 전년에 이어 감소세(-0.3%)를 지속함에 따라 토지자산의 GDP대비 배율은 5.0배로 전년(5.2배) 대비 하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