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실태평가 4등급 '취약' 평가… 정해진 수순이라는 반응부동산 PF 대출잔액 '2020년 말 대비 73%' 급증캐피탈업계만을 위한 '위험 레버리지' 제도 도입 목소리 커져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국내 캐피탈업계에서 사상 처음으로 적기시정조치가 내려진 가운데 중소형사를 중심으로 '도미노 위기'가 현실화할 거란 우려가 나온다. 금융당국의 강력한 경고에도 불구하고 고질적인 재무 위기 상황을 타개할 묘책이 마땅치 않기 때문이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30일 정례회의에서 CHN캐피탈에 대해 적기시정조치를 의결하며 리스크 관리에 엄중한 경고장을 날렸다.

    리스업 전문 중소형사인 CNH캐피탈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자영업 대출 연체가 급증하면서 유동성 위기를 맞았다. 

    최근 경영실태평가에서 종합등급 4등급(취약)을 받아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올랐으며 △순손실 120억원 △연체채권 비율 25.24% △유동성 비율 26.34%로 재무 악화가 두드러졌다.

    ◇ 금융위의 '경고'에도 부실 확대… 고질적인 유동성·부실채권 리스크 해결 어려워

    지난 8월 금융위원장과 여신금융업계 간 간담회에서 금융위는 PF 부실채권 정리와 자본 확충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당시 "부동산 PF 연체채권 등 건전성을 개선해달라"고 당부했지만 여전히 많은 중소형 캐피탈사들이 유동성 위기와 부실채권 리스크에 노출돼 있다.

    여신금융협회의 자료에 따르면 51개 캐피탈사의 고정이하여신(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은 올해 총 5조586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캐피탈업계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올해 상반기 23조9000억원에으로 2020년 말(13조8000억원)에 비해 무려 73%나 높은 수준이다. 

    또 PF 대출 연체율이 10% 이상인 회사가 10곳, 30% 이상인 회사도 4곳에 달한다. 

    ◇ 치솟는 리스크… 캐피탈사 '위험 기반 레버리지' 도입 요구

    중소형 캐피탈사들은 현재 극심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해 있다. 여신금융협회는 최대 5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 공동 매각을 추진했으나 참여율 저조로 무산되며 중소형 캐피탈사들의 부실 위험이 더욱 커진 상태다. 

    또 다른 중소형 캐피탈사인 M캐피탈도 유동성 위기로 새마을금고중앙회 인수가 논의되고 있다. CNH캐피탈 외에도 금융위의 현장 감사를 받은 중소형사 2~3곳이 추가로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오를 것으로 점쳐진다. 

    적기시정조치는 권고, 요구, 명령 등 세 단계로 나뉘며 금융당국은 이를 통해 인력·조직 개선과 부실 자산 처분을 강제할 수 있다. 

    적기시정조치를 받은 금융사는 경영 정상화 계획을 제출하고 이행 여부에 따라 최악의 경우 영업권을 제한받을 수 있다.

    캐피탈업계의 위기가 심화되면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자산건전성 판단 기준인 '레버리지 배율' 대신 캐피탈사의 특성을 반영해 '위험 기반 레버리지 배율'을 도입해야 한다고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이를 통해 캐피탈사의 건전성 파악과 효과적 자본규제를 꾀해야 한다는 주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