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검사기관 독점적 형태가 돼 선택권 사라져"공단측 "업체들 우려일뿐 아직 그런 사례 없다"
  • ▲ 경남 진주혁신도시 내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전경.ⓒ한국승강기안전공단
    ▲ 경남 진주혁신도시 내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전경.ⓒ한국승강기안전공단



    한국승강기안전공단(Koelsa)을 놓고 국내 엘리베이터업계가 '불편한 시선'을 보내고 있다. 검사기관의 단일화에 따라 업체들의 선택권이 사라진 만큼, 인증 및 검사의 신속성 저하 등을 우려하고 있는 것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은 지난달 1일 한국승강기안전관리워(승안원)과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승기원)의 통합해 경남 진주혁신도시에서 출범식·개청식을 갖고 본격적인 업무 수행에 돌입했다.

    당시 출범식에서 백낙문 한국승강기안전공단 이사장은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의 통합은 국내 승강기 안전이 강화되는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국내 엘리베이터업계의 생각은 이와 사뭇 다르다.

    검사기관의 단일화로 비경쟁 체제에 돌입한 만큼, 업체들 입장에서는 검사기관을 결정할 수 있는 선택권이 사라졌기 때문이다.

    기존의 승안원과 승기원 체제에서는 두 기관이 승강기 인증 및 검사 등의 수수료를 통해 수익을 얻었다. 이에 양 기관이 경쟁했고 업체들에게 좀 더 신속한 인증 및 검사를 하려고 노력했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통합 이전 승안원과 승기원은 준정부기관임에도 정부의 예산 지원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안전검사 수수료를 통한 매출 확보를 위해 양 기관이 경쟁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통합 이후 독점적 형태로 바뀌면서 경쟁이 사라졌다. 한국승강기안전공단 통합 이전에는 엘리베이터 업체들이 승안원에서 검사인증을 받지 못해도, 승기원에서 재차 검사를 맡겨 빠르면 4일 만에 인증을 받기도 했다. 반면 한국승강기안전공단이 승강기 인증 및 안전검사 등에서 차질이 생길 경우 재인증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더욱 길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란 게 업계의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성수기 등으로 신청이 몰릴 경우 고무줄처럼 인증 및 검사 등의 소요 기간이 늘어난다"며 "신속한 인증을 받아 승강기 운행을 시작해야하는 업체 입장에서는 영향이 있을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관계자는 "검사 내부 교육 등 시스템을 잘 갖추고 있다"며 "이러한 내용들은 업체에서 하는 우려일 뿐 아직까지 그러한 사례들이 나오지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한편 국내에서 운영 중인 엘리베이터는 약 52만 7000대에 달한다. 전체 인구 100분의 1 수준으로 최근 단납기(5층 이하의 저층 건물에 사용되는 엘리베이터) 시장 활성화로 설치 대수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이렇다 보니 엘리베이터 사고 건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최근 3년간 매년 1만건 이상의 사고가 엘리베이터 내에서 발생했고, 사망자 수 역시 10년간 100여명에 육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