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경제포커스

    아워홈 품은 한화, 갤러리아 '시너지 변곡점'은 만들어졌다

    한화호텔앤드리조트가 아워홈을 품으며 본격적인 시너지 변곡점을 맞고 있다. 그간 김동선 미래비전총괄 부사장을 주축으로 F&B 사업을 강화해왔지만 본업인 백화점과의 시너지가 아쉬웠기 때문이다.아워홈 인수를 두고 일각에서는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각 사업별 강점을

    2025-03-10 조현우 기자
  • 韓경제 뒤흔드는 中초한전④

    中 대형 자본, 韓 금융사 줄인수이어 간편결제 시장까지 침식 … 재앙 수준 '정보 유출' 온다

    중국의 대(對) 한국 공략에 대한 대응이 시대 과제로 떠올랐다. 중국은 한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에 걸쳐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 수법이 중층적이고 교활하다. 때론 은밀하게, 필요할 땐 노골적으로 야욕을 드러낸다. 중국은 한국을 전세계에 걸친

    2025-03-07 이나리 기자
  • N-경제포커스

    엑손모빌도 발 뺀 '알래스카 가스관' 사업, 트럼프 요청에 韓 감당 가능할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관 개발 프로젝트에 한국과 일본 참여를 기정사실화했다. 우리 정부가 공식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힌 적 없는데도 '화석연료' 부활을 꾀하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사업 참여에 압박을 가하고 있다. LNG 주

    2025-03-06 최은서 기자
  • [N-경제포커스]

    홈플러스 법정관리에 MBK發 위기론 확산 … 고려아연 분쟁에도 영향 불가피

    홈플러스가 유동성 위기로 기업 회생절차에 돌입하면서 회사 소유주인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가 위기에 봉착했다. 현재 MBK가 참전 중인 고려아연 경영권 분쟁에서도 영향이 불가피해 보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홈플러스는 신용등급 하락으로 인한 잠재적 자금

    2025-03-04 김민아 기자
  • N-포커스

    3월 '의료대란 지옥문' 열린다 … 생사기로 선 환자들 '발동동'

    올 상반기 전공의 모집은 최종 실패로 돌아갔고 의대생 복학은 물론 신입생도 수업 거부 의사를 밝히면서 의료대란의 심각성이 커지고 있다. 지방의대 교수들은 수도권으로 자리를 옮기고 펠로우(전임의) 계약도 위태롭다. 결국 모든 고통은 환자 몫으로 돌아가는데 마땅한 출구전략

    2025-03-04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韓경제 뒤흔드는 中초한전①

    고려아연, 중국 전략통제 광물 주력 생산 … 中자본투입 MBK가 쥐면 '경제 안보주권' 뺏긴다

    중국의 대(對) 한국 공략에 대한 대응이 시대 과제로 떠올랐다. 중국은 한국의 정치·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부문에 걸쳐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그 수법이 중층적이고 교활하다. 때론 은밀하게, 필요할 땐 노골적으로 야욕을 드러낸다. 중국은 한국을 전세계에 걸친

    2025-03-04 김보배 기자
  • N-경제포커스

    서울보증보험 '청약 흑역사' 지울 수 있을까

    이번주 공모시장에서 국내 유일의 전업 보증보험사 서울보증보험, 클린룸·드라이룸 전문기업 씨케이솔루션, 산업용 초저온가스 탱크 제조기업 한텍 등 3개사가 일반청약을 진행한다. 특히 서울보증보험은 2023년에 이어 재도전에 나선 만큼 '청약 흑역사'를 지울지 관심이 쏠린다

    2025-03-03 임준환 기자
  • N-경제포커스

    中 양회 4일 개막, '5% 성장' 위해 총력전 … 美 관세 전쟁에 반격책 나올까

    중국이 오는 4일부터 연례 최대 정치 행사인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 주간에 돌입하며 5% 수준의 연간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울러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미중 무역전쟁이 확전 기로에 놓인 상황에서 중국이 보복

    2025-03-03 임준환 기자
  • N-경제포커스

    자고 일어나면 신고가 … 강남 집값 언제까지 오를까

    서울 강남 집값이 심상치 않다. 집값 상승 기대감과 기준금리 인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토허제) 등이 맞물리면서 '강남3구(강남·서초·송파)'를 포함한 서울 동남권 아파트값은 반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시장에선 오는 7월 시행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

    2025-03-03 박정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