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장 "돌아오라" 호소 중인데 … 교수 "휴학 승인, 제적되면 교단 떠날 것"
대학별 의대생 등록 마감일이 다가온 가운데 의대학장들이 막판 호소에 총력을 가하고 있다. 일단 복귀해야 2026년 증원 0명이 결정된다며 반려되는 휴가계 대신 등록을 재차 당부했다. 하지만 다수의 의료계 단체는 자율의지에 따른 휴학 결정은 정당한 것으로 이를
2025-03-21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HLB "멸균 프로토콜 등 美 허가 불발 원인" … '경미한 사안' 되풀이에 주주들 분통
HLB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RL(보완요구서한)을 받은 데 대해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한 멸균 프로토콜이 충분히 확립되지 않은 점이 크게 작용했다고 밝혔다. 앞서 HLB 경영진은 CMC(제조품질관리) 지적사항에 대해 꾸준히 경미한 것이라고 밝혀왔
2025-03-21 조희연 기자 -
의대생 '극소수 복귀' 무게 … 초유의 줄제적 '총알받이'되나
의대생 복귀를 위한 각종 압박과 회유책이 나오고 있지만 문이 열리지 않는 모양새다. 각 대학은 학부모 의지에 의한 등록 등 극소수 복귀를 점치고 있다. 이대로면 예고된 제적 등 조치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21일 의학계에 따르면 이날 연세대·고려대·경북대 등 3
2025-03-21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美 FDA의 벽은 높았다 … HLB, 또 보완요구서 수령
HLB의 미국 FDA(식품의약국) 품목허가 재도전이 실패로 끝났다. HLB는 FDA로부터 재차 CRL(보완요구서한)을 발급받았다. 이번에도 리보세라닙 병용 약물인 캄렐리주맙 공장 CMC(제조품질관리)를 지적받으며 FDA의 벽을 넘지 못했다. 21일
2025-03-21 조희연 기자 -
지역병원 육성한다는 2차 개혁안에 중소병원장들 반발 왜?
2차 의료개혁 실행방안에 지역병원인 2차 병원 육성책이 담겼지만 정작 2차 병원장들이 반발하고 있다. 2차 병원은 중소병원부터 상급종합병원에 준하는 대학병원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정작 의료전달체계에서 '허리' 역할을 해야 할 곳이 소외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20
2025-03-20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의대생 제적되면 의협 투쟁 돌입 … "복귀 여부는 스스로 판단"
의대생 복귀 시한이 임박했지만 마땅한 움직임이 포착되지 않아 각 대학은 학칙에 다른 제적을 예고한 상태다. 만약 실행된다면 대한의사협회(의협)는 투쟁에 돌입하겠다는 방침이다. 정책 실패에 대한 사과나 재발방지책 없이 일방적으로 "돌아오라"는 요구는 적절치 않다는 것이다
2025-03-20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연세의대, 세계 최다 로봇수술 연구 '196건' 성과
연세대학교가 로봇수술에 관한 연구 논문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발표한 기관으로 손꼽혔다.20일 연세의료원에 따르면 국제학술지 '로봇수술지(Journal of Robotic Surgery)'에서 연세대학교가 지난 10년간 로봇수술 관련 연구 논문을 196편을 게재해 세계에
2025-03-20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HK이노엔, 남성 직원 육아휴직 사용률 0→66% … 비결은 '출산장려팀'
HK이노엔 남성 직원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60%대로 대폭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지주사에서 출산장려팀을 신설하고 육아휴직 제도를 개편한 영향이다. 정부가 올해부터 육아지원 현황 공시를 의무화함에 따라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육아휴직 사용자 수와 사용률을 공
2025-03-20 조희연 기자 -
의사 빠진 2차 의료개혁 '개문발차' … 당장 의학교육은 어쩌나
2차 의료개혁은 실손보험과 비급여 관리로 의료낭비 요인을 차단하고 의료사고 특례를 부여해 소송 위험성이 높은 기피과 문제를 해결하자는 목표가 담겼다. 하지만 의료계는 물론 각계가 반대하는 제도적 변화여서 발표 시점이 성급했다는 중론이다. 당장 의사 배출이 끊겼
2025-03-20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미복귀 의대생 제적시 '편입' 얘기 나오자 … 학장들 "오해"
미복귀 의대생의 최종 등록기한이 얼마 남지 않은 가운데 제적과 편입이라는 초강수 대안이 거론되자 의대 학장들이 선을 그으며 '잘못된 정보'라고 규정하며 의대생들을 향해 "복귀 해달라"고 호소했다. 19일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는 의대생을 향한
2025-03-19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전공의·의대생 미복귀로 환자피해 심각" … 한의협, 한의사 활용법 결단 요구
전공의와 의대생 미복귀 문제로 신규 의료인력 절벽이 예상되는 등 환자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한의사 활용에 관한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대한한의사협회는 의료대란 해결책으로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19일 밝혔다. 3월 수련을 재개할 양방 전
2025-03-19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대웅제약, 셀트리온제약 골다공증 치료제 '스토보클로' 출시
대웅제약은 셀트리온제약의 골다공증 치료제 '스토보클로(성분명 데노수맙)'를 국내 시장에 공식 출시했다고 19일 밝혔다. 스토보클로는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인 프롤리아의 국내 1호 바이오시밀러로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의 활성을 억제해 골흡수를 막고 골밀도를 증
2025-03-19 조희연 기자 -
시지메드텍, 700평 규모 신공장 건설 … 생산능력 300% 확대
시지메드텍은 2299㎡(약 700평) 규모의 신공장 건설을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신공장 건설을 통해 2034년까지 자사 정형외과 임플란트 생산 능력을 증대시키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한층 강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시지메드텍은 신공장을 통해
2025-03-19 조희연 기자 -
"의대생 휴학계 승인 불가" … 총장들, 학칙대로 간다
의과대학 총장 단체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가 오는 21일까지 동맹 휴학 중인 의대생 휴학계를 반려하자고 합의했다. 미복귀시 학칙에 따라 제적 또는 유급 등 조치가 취해질 전망이다. 빈 공백은 편입생으로 막겠다는 대책도 거론된다. 19일 의
2025-03-19 박근빈 보건의료전문기자 -
삼성바이오로직스, 서울대·연세대와 바이오 원부자재 상생 기부 협약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연세대학교 약학대학과 상생 기부 협약을 체결했다고 19일 밝혔다.19일 오전 인천 송도 삼성바이오로직스 바이오플라자에서 열린 이번 협약식에는 김동중 삼성바이오로직스 상생협력센터장(부사장), 장판식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학 학
2025-03-19 조희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