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대란 장기화 대책 마련 시급지역필수공공의료 인력 확충 급선무한의과대학은 의과대학과 75% 유사
-
- ▲ ⓒ대한한의사협회
전공의와 의대생 미복귀 문제로 신규 의료인력 절벽이 예상되는 등 환자피해가 커지고 있다며 한의사 활용에 관한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대한한의사협회는 의료대란 해결책으로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19일 밝혔다.3월 수련을 재개할 양방 전공의 임용 대상자는 1672명으로 지난해의 12%에 불과하다. 전공의 부족 사태를 해결할 뾰족한 대안이 없다는 것이다.의대생들의 복귀 거부 사태도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정부가 2026학년도 의과대학 정원을 회귀했음에도 의대생들의 수업 참여율은 지극히 미미한 상태다. 일부 의대에서는 타학과생 편입학으로 충원한다는 계획을 검토하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한의협은 "사태가 악화일로에 접어들었음에도 정부는 아직도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며 "의료인인 한의사를 적극 활용해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지켜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주장해 왔다. 이제는 정말 정부가 결단을 내려야 할 시기"라고 밝혔다.구체적 방법으로 △한의사가 2년의 추가 교육을 받고 국가시험을 합격한 후 필수의료 분야의 전문의 과정을 밟는 과정을 거친 '지역필수공공의료한정의사제도' △한의과 공보의에게 일정 기간 교육 수료 후 일차의료에 필요한 경미한 의료행위 허용 △한의과대학의 정원을 한시적으로 줄이고 남는 공간에서 의대생 교육 시행 등이 중점 거론된다.한의협은 "의협 의료정책연구소가 보고서를 통해 밝혔듯이 한의사의 경우 이미 한의과대학에서 의과대학에서 강의로 가르치는 내용의 75%를 공부했다"며 "한의사를 활용한다면 훨씬 빠르고 효과적으로 의료현장 투입이 가능하다는 확실한 이점이 있다"고 밝혔다.하지만 "정부는 눈치를 보느라 가장 합리적인 방안에 대해 일부러 눈을 감고 있다"며 "더는 끌려다니지 말고 가장 합리적 대체인력인 한의사를 최대한 활용해 국민 불편을 해소해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