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폐개혁 희생양 박남기 후임, 90년대부터 자리바꿈 인연'임꺽정' 홍명희 손자...경제난 돌파 구원투수 될까
  • 9월 하순 북한 노동당 대표자회를 통해 중용된 인물 중 홍석형(74) 당 계획재정부장(전 함북도당 책임비서)은 특히 눈여겨볼 만하다.

    올해 초반 화폐개혁 실패의 책임자로 몰려 처형된 박남기의 후임자로서 난국에 처한 북한 경제를 다시 세울 `구원투수'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번에 홍석형은 당 계획재정부장에다 추가로 당 정치국 위원과 당 비서(경제담당 추정) 자리까지 일거에 거머쥐어, 이제 막 윤곽을 드러낸 김정은 후계체제의 첫 `경제브레인'으로 급부상했다.

    홍석형의 이 같은 도약은 우선 산업현장의 밑바닥부터 다져온 실무 경험과 1990년대 중반 국가계획위원장으로서 북한의 경제발전계획을 총괄했던 경륜을 평가받은 결과로 분석된다.

    다시 말해 개혁ㆍ개방 같은 변화의 모색보다, 식량 등 기초재화의 수급 조절과 경제정책의 안정적 관리에 무게가 실린 발탁이라는 얘기다.

    `김정일 체제'의 대표적 경제통인 개혁 성향의 박봉주 전 내각 총리와 보수 성향의 박남기 전 계획재정부장이 차례로 실각한 뒤 바통을 이어받았다는 점을 봐도 홍석형에게 개혁ㆍ개방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소설 `림꺽정'의 저자 홍명희의 손자인 홍석형은 북한의 고위층 인사 가운데 유일한 남한 출신이며, 모스크바로 유학을 다녀온 이후 1984년 정무원(내각 전신) 금속공업부 제1부부장으로 발탁되기 전까지 줄곧 김책제철연합기업소에서 일한 `철강맨'이기도 하다.

    특히 김책제철연합기업소 책임비서 시절 소신있는 업무 처리와 진중한 성격으로 제철소의 급성장을 이끌어 고 김일성 주석의 눈에 들었다는 `설'도 있다.

    지방에서 잔뼈가 굵은 그가 중앙무대에 처음 등장한 것은 1993년 12월 북한의 경제발전계획 수립을 총괄하던 국가계획위원회의 위원장을 맡으면서이다.

    당시 3차 7개년계획을 막 끝낸 북한은 사회주의 계획경제의 실패를 확인하고 참담한 심정으로 김달현 위원장을 문책 경질한 상황이었다.

    하지만 홍석형이 국가계획위원장을 맡은 시기는 불운하게도, 수백만 명의 주민들이 굶어죽을 만큼 북한 경제가 피폐해졌던 이른바 `고난의 행군' 초입 무렵이었다. 누가 그 자리를 맡든 경제발전은 고사하고 현상 유지도 어려웠던 상황이었던 것이다.

    힘든 자리에서 4년9개월을 버티다 1998년 9월 물러난 홍석형은 그후 2년 반 정도 공직에서 완전히 밀려났다가 2001년 북한 최대 공업단지를 끼고 있는 함경북도의 당 책임비서로 재기했다.

    이런 홍석형과 `비운의 테크노크라트' 박남기 사이의 `악연'과 연속된 반전은 매우 흥미롭다.

    1993년 홍석형이 처음 국가계획위원장으로 발탁됐을 때 박남기는 경제정책 실패의 책임을 지고 당 경제담당 비서에서 해임됐으나 1998년 홍석형이 국가계획위원장에서 물러날 때는 박남기가 그 자리를 이어받았다.

    그후 박남기는 당 비서와 계획재정부장으로 10년 넘게 승승장구하는 듯했지만 결국 화폐개혁 실패의 희생양으로 몰려 다시 홍석형에게 자리를 내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