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사회복지연구회, 정책적 보안책 논의
  •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가 사회적 문제로 떠올랐다.

    한국전쟁 이후 1955년부터 1963년 사이에 태어난 베이비부머(baby boomer) 세대들이 자녀양육과 부모부양으로 자신의 노후를 준비하지 못한 어려움에 직면한 것이다.

    선진사회복지연구회는 14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는 ‘베이비부머세대의 전망과 정책과제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었다.

    문제가 붉어진 것은 지난해부터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은퇴가 시작되면서다. 이들 세대들이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하고 있기에 사회적인 파장도 만만치 않다.

    회사 밖으로 쏟아져 나오는 이들은 일명 ‘샌드위치 세대’라고 불린다. 동시에 아파트세대, 기러기 가족세대, 격심한 경쟁과 스트레스로 OECD국가 중 40대 자살률이 가장 높은 세대 그리고 IMF 외환위기와 2008년 금융위기를 겪어온 세대이기도 하다.

    김용하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은 제 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통해 베이비부머 세대를 위해 필요한 정책적인 부분을 설명했다.

    이는 노년층의 일자리와 소득, 건강 등의 내실화에 중점을 둔 계획이다. 김 원장은 “정책대상을 기존의 65세 이상에서 55세 이상으로 확대하고 중고령자가 계속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을 우선적으로 조성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들 세대에게 필요한 일자리 측면이 논의됐다.

    김 연구원장은 베이비붐 세대 은퇴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대안을 설명했다. 우선 단기적으로 정년 연장을 통해 은퇴를 지연시켜야한다는 것. 60세 정년의무화를 65세까지 연장하거나 임금 삭감을 전제로 한 임금피크제의 도입이 그 예다.

    두 번째로 장기적으로 시장 수요를 유발하는 것이다. 공공 및 민간 차원의 고령자 맞춤형 일자리 창출이 시급한 대안이라고 김 위원장은 설명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기술과 노하우를 중소기업으로 전이시키는 대책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책적 지원이 시급한 이유는 따로 있다.

    당장 은퇴하는 이들이 쏟아지는 것도 있지만 이들이 노인계층으로 전환되는 2040년대와 2050년대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고용 및 소득이 하락하면서 이들이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도 높다. 이에 따라 개인적인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 차원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베이비부머 세대에 속하는 시민들이 참석하기도 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일자리’ 문제를 지적했다. 한 참석자는 “주위 친구들이 직장을 나와 할 일이 없다”며 “일자리가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전했다. 이어 “베이비부머 세대의 인력을 사회에서 유용하게 사용하게끔 정책을 마련해달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