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연합뉴스] 최근 각 금융지주사 회장들이 최고 30억에 달하는 연봉을 받아가면서도, [책임 경영]에는 신경쓰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금융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최근 각 금융지주사 회장들이 최고 30억에 달하는 연봉을 받아가면서도, [책임 경영]에는 신경쓰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금융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봉급은 많이 가져가는데, 일은 그만큼 못한다”
국내 [금융지주사 회장]들에게 쏟아지고 있는 비판이다. 
이들의 연봉은 최고 [30억원],
일당으로 환산하면 [하루 800만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액의 연봉을 지급받는 이들은
최근 수년 간 별다른 실적을 내지 못한 탓에
비판의 목소리를 피할 수 없게 된 상황이다.


금융권 일각에서는 이들의 보수를 철저히 실적과 연계해 책정하고 
이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금껏 금융지주사 회장의 연봉은 
최고 15억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각 금융지주사의 사업보고서 등에 따르면 
지주사 회장의 연봉은 이를 훨씬 초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한동우 <신한금융지주> 회장의 경우 
지난해 고정급여와 단기 성과급을 합쳐 14억3천만원을 받았다. 
여기에 13억2천만원에 달하는 장기 성과급을 합치면 
총 연봉은 30억원에 육박한다.


<KB금융지주>는 지난해 
어윤대 회장과 임영록 사장에게 
총 43억6천만원의 보수를 책정했다. 
고정급여 및 단기 성과급은 24억9천만원, 장기 성과급은 18억7천만원이었다.


1인 평균으로 따지면 21억8천만원이지만, 
회장의 몫이 사장보다 크다는 점을 감안하면
어 회장의 보수는 훨씬 많을 것으로 보인다.


<하나금융>은 김정태 회장, 최흥식 사장과 
전직 경영진, 계열사 대표 등 임원 7인에게 
지난해 29억원 가량의 고정급여와 단기 성과급을 지급했다. 
전임 경영진은 지난해 3월 퇴임했고, 
계열사 대표가 지주사에서 받는 급여는 미미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부분은 김 회장과 최 사장에게 돌아간 것이다.


또, 회장 보수가 사장보다 훨씬 많다는 점을 감안하면 
김 회장의 연봉도 다른 지주사 못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우리금융지주>는 지난해 이팔성 회장에게 
기본급여 6억원, 성과급 3억원 등 총 9억원을 지급했다. 


금융지주사 회장의 연봉은 
평범한 회사원의 수십 배에 달하는 수준이지만, 
최근 수년 간 실적은 기대 이하다.


어윤대 <KB금융> 회장은 
우리금융 인수 실패에 이어 
지난해 말 ING생명 한국법인 인수에서도 
사외이사들과의 불협화음을 일으키며 실패하고 말았다. 
올해 초에는 ISS 보고서 유출 사건까지 터져졌다.


이팔성 회장은 <우리금융> 매각 실패는 물론 
야심차게 추진했던 해외시장 진출과 
매트릭스(계열사의 공통된 사업 부문을 하나로 묶어 관리하는 조직) 추진에도 
성과를 내지 못했다.


한동우 <신한금융> 회장 역시 
2011년을 정점으로 이익이 크게 줄고 
주가 또한 많이 떨어져
다른 지주사 회장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평가를 받고 있다.


회장 연봉의 불투명한 책정 과정과 정보 미공개도 문제로 꼽힌다.


사업보고서에 임원 보수를 뭉뚱그려 공시할 뿐 
[회장 연봉][정확히 얼마인지] 공개하지 않고 있다. 
또 성과급이 경영성과를 어떻게 정확히 반영했는지 
그 근거를 명시하지 않아 연봉 수준의 정당성마저 평가할 수 없다.


막대한 연봉을 받으면서도 
눈에 띄는 성과를 보이지 못하고 있는 탓에
금융권 일각에서는 “[책임 경영]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지주사 체제가 출범한 것은
IMF 경제대란 이후, 세계적인 금융그룹 육성의 필요성이 제기됐기 때문이었다.
이런 금융지주사들이 국내 영업에만 치중하고 
예대마진 따먹기에만 골몰하고 있다.
결국 회장 연봉만 대폭 올려놓는 결과를 낳은 것 아니냐.
회장들이 보유하고 있는 스톡옵션까지 포함한다면,
이들의 연봉은 언론 보도로 알려진 것 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된다.
100억 가까이 될 수도 있다.
미미한 성과를 거뒀다면 회장 연봉도 그에 맞게 낮추는 것이 당연하다
거액의 연봉을 받으려면 
그 책정 과정과 총액을 정확히 밝혀 
주주들과 금융 소비자들의 인정을 받아야 할 것이다“

- 조남희 금융소비자원 대표



이런 지적이 금융권에서 계속 제기되면서,
금융위원회는 금융지주사 회장의 보수 내역에 대한 공시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의
[금융 지배구조 개선 태스크포스(TF)]를 꾸렸다.


지난달 19일 출범한 금융 지배구조 개선 TF는 
금융지주사 회장이나 사외이사의 임기를 제한하지 않는 대신 
이들의 활동이나 [보수 내역에 대한 공시를 강화]하는 방안을 택할 것으로 알려졌다.


TF의 출범이 금융지주사의 투명경영, 책임경영을 위한 시금석이 될지
금융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