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전망… 세계 성장률 전망치도 낮춰올해 2.9%(-0.3%), 내년 3.6%(-0.2%)
-
국제통화기금(IMF)이우리나라의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기존보다 0.2%포인트 하향조정했다.세계경제는 미약하나마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성장엔진으로의 신흥국 역할에 변화가 오며하방리스크가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 ▲ ⓒ IMF 홈페이지
IMF는 8일
[세계경제전망(World Economic Outlook)] 자료를 통해내년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의 3.9%에서 3.7%로 0.2% 낮췄다.
일반적으로 성장률이 0.1%포인트 하락하면
2000억 원가량의 세수 감소가 발생하는 것으로 추산된다.물가상승률은 2.6%,경상수지는 GDP 대비 3.9%,실업률은 3.2%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기존의 2.8%를 유지했다.물가상승률은 1.7%,경상수지는 GDP 대비 4.5%,실업률은 3.2%로 예측했다.IMF는 내년 세계 성장률 전망치도 낮춰 잡았다.올해 2.9% 및 내년 3.6%로,7월 전망대비 각각 0.3%포인트 및 0.2%포인트씩 하향조정했다.경기ㆍ구조적 요인으로 중국 등 신흥시장국의 성장이경기적 정점을 지나 둔화하는 가운데,미국 등 선진국 경제를 중심으로 완만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선진국은△미국경제 성장세△재정긴축 완화(일본 제외)△확장적 통화 여건 등에 힘입어올해는 1.2%, 내년은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구체적으로 미국은부동산시장 회복과 가계자산 증가,은행 대출요건 완화에 따라 성장세를 보이나,낮은 고용률과 재정긴축 등으로올해 1.6%, 내년 2.6% 성장할 것으로 봤다.일본은경기부양책의 영향으로 올해 2% 성장이 기대되나,긴축 재정정책 시행으로내년에는 1.2% 성장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유로존은올해 -0.4%까지 하락폭을 줄인 후,내년에는 1.0% 성장할 것으로 기대했다.반면, 신흥국의 경우△수요 감소△대외 차입여건 악화△공급부문 제약 등의 영향으로올해 4.6%, 내년 5.1% 성장할 것으로IMF는 전망했다.이는 기존보다 각각 0.5%포인트 및 0.4%포인트 내린 것이다.특히, 중국의 성장률은올해 7.6% 및 내년 7.3%로 성장세가 줄어드는 추세로,이는 다른 신흥 아시아국의 성장에도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다.미국ㆍ일본 등 주요 선진국의대규모 공공부채와 연금개혁 등 구조개혁,중기재정건전화 계획의 부재가재정위험을 확대하는 단기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IMF는 지적했다.신흥국도 미국 양적완화 축소 전망 등으로환율 및 금융시장이 과도하게 출렁일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중기 위험요인으론미국 출구전략이 글로벌 금융시장에 예상보다 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운데,유로존 및 신흥국의 성장 부진과일본 디플레이션의 지속으로 세계경제의 둔화가계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이에 따라 IMF는미국은 통화정책을 변경할 때성장ㆍ물가ㆍ금융안정성 등을 신중히 검토해야 하며,신흥국은 대외차입 여건이 악화되고 자본유입이 감소하는데 대한정책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