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매 통해 빼낸 자금 부동산이 흡수한 것 아니냐 추측
  • ▲ ⓒ연합뉴스
    ▲ ⓒ연합뉴스

     

    국내 주식형 펀드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격이 하락하면 1년여 시차를 두고 국내 주식형 펀드 자금이 유출됐던 것. 펀드 환매 1차적 요인이 주가와 펀드 수익률이지긴 하나 가계자산에서 비중이 큰 부동산 가격의 변화도 무시할 수 없다는 진단이다.

     

    13일 금융투자업계와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부동산 가격이 상승하기 시작한 2006년 이후 전국 주택 매매가격의 상승률은 국내 주식형 펀드의 자금 설정액 증가율에 1년가량 앞섰다.

     

    KB국민은행의 월간 주택매매가격지수 기준, 2006년 11월∼2007년 9월 집 값은 전년 동월대비 매월 9% 이상씩 오르며 상승 폭을 키웠다.


    일년 뒤인 2007년 11월부터 2008년 8월 국내 주식형 펀드 설정액 역시 전년동월대비15% 이상 상승했다.

     

    이후 부동산 불황 악화되던 2009년 3월∼11월 집 값은 전년 동월 보다 떨어지거나 1% 미만 오르는 데 그쳤다. 그로부터 1년 6개월가량 지난 2010년 10월∼2011년 5월 펀드 설정액도 13% 이상 하락률을 기록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국내 가계 자산의 상당 부분을 부동산이 차지하다 보니 부동산 가격이 펀드 투자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통계청과 한국은행이 개발한 국민대차대조표에 따르면 국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자산에서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66%이며, 비금융자산에서 토지자산의 비중은 52%다.


    이재훈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투자를 하려면 가계 자금 흐름이 좋아야 하는데 가계 자산에서 부동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며 "집값이 하락하면 집을 가진 사람들의 부는 줄어드는 등 투자 여력이 줄어든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금융 자산보다는 부동산이 자산 유동화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변동과 펀드 자금 유출입에 약 1년의 시차가 발생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과 증시 모두 경기를 반영하므로 부동산 시장이 약세일 때 증시도 부진해 환매가 많이 발생한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이 연구원은 "수익률이 예전 같지 않아 펀드에 대한 기대감이 감소하면서 환매가 일어난다"며 "한정된 자산을 가진 가계가 환매를 통해 빼낸 자금을 결국 부동산이 흡수한 게 아닌가 추측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