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뉴데일리 DB
    ▲ ⓒ 뉴데일리 DB

    당초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의 수혜주로 꼽혔던 이동통신 3사의 주가가 심상치 않다. 규제 우려때문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3분기 실적 발표와 더불어 단통법 효과가 가시화되는 4분기 실적 또한 개선되면서 통신주들이 다시 강세를 띨 것이라는 분석이다.

    24일 단통법 시작 4주차에 접어들었지만 SK텔레콤(-8.62%)·KT(-9.62%)·LG유플러스(-12.15%) 이동통신 3사의 주가는 단통법 시행 직전인 9월30일과 비교하면 낙폭은 평균 1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통신주들의 급락세는 규제 우려감 때문이다. 그동안 통신주에 대해선 단통법 시행으로 소비자에게 돌아갔던 보조금 혜택이 줄어드는 대신 몇몇 통신사들만 이득을 보게 됐다는 반발이 거셌다.

    김홍식 하나대투증권 연구원 역시 "단통법 시행으로 보조금이 급감해 법 폐지 주장이 거세지면서 국감에서도 통신비 인하가 이슈화됐기 때문"이라면서 최근 통신주들의 폭락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

    양종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도 "이동통신 가입자당 매출액이 1% 감소할 경우 내년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의 주당 순이익은 각각 3.9%, 7.9%, 9.6% 줄어들 것"이라며 "어떤 정책이 논의되고 정해질지는 지켜볼 일이나 규제 리스크 확대는 주가에 부정적"이라고 밝혔다.

    또 불확실성을 싫어하는 성향의 외국인들의 매도 공세도 이들의 주가를 끌어내렸다. 규제 리스크는 기업들의 마음대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규제 리스크에 대한 불확실성이 대단히 커진 상황이라는 것이다.

    실제, 이달 초부터 이날까지 외국인들은 이통 3사의 주식 458조5115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외인비중도 SK텔레콤(45.72%→44.43%), KT(44.37%→43.94%), LG유플러스(30.31%→29.75%) 모두 감소했다.

    그러나 실제로 정부가 통신사들에게 인위적인 요금 인하를 강제할 순 없다는 전망이다. 단통법에 대한 시장의 불안 심리가 과도하게 주가에 반영됐기 때문에 3분기 실적 발표를 기점으로 반등의 여지는 충분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김 연구원은 "최근 미래부가 요금 인가제 폐지를 주장하는 상황에서 과거와 같이 인위적 요금 간섭을 다시 시작하면 규제 개혁 취지에 어긋나는 데다 통신사 자율적 요금 경쟁 침해 소지가 커 정책적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며 "또 정부가 이동전화 재판매(MVNO) 활성화 정책을 펴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이동통신 3사에 낮은 요금을 강요할 명분이 약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다만, 3분기 실적 발표 이후엔 통신주들이 다시 강세를 띨 것이란 관측이다. 3분기 실적이 호조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4분기에는 단통법 효과로 영업이익이 전보다 더 개선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황성진 HMC투자증권 연구원은 "단통법 시행으로 마케팅비가 5% 감소하게 될 경우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의 영업이익은 각각 7.4%, 9.8%, 14.2% 증가하며, 순이익은 각각 6.7%, 15.9%, 20.8%씩 증가하게 된다"며 "다른 변수의 변화가 없이 평균적으로 5~10%가량 마케팅비가 감소하게 될 경우를 가정한다면, 업체들의 순이익은 평균적으로 10~20%가량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추정했다.

    문지현 KDB대우증권 연구원은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국내 이동통신 시장이 포화됨에 따라 마케팅비의 효용이 줄어드는 상황에서 단통법이 마케팅비를 절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이통 3사가 모두 배당을 지급하면서 통신서비스 업종은 대표적인 고배당성향 및 고배당수익률 섹터로서 밸류에이션 프리미엄이 부여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