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가 야심차게 추진한 가격제한폭 확대가 비교적 시장에 조기 안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거래소는 가격제한폭 확대를 시행한지 1개월 만에 과거에는 거래가 불가능했던 급등락 종목이 거래가 원활하게 형성되는 등 가격발견 기능이 대폭 제고됐다고 13일 밝혔다.


    한국거래소는 지난 615일 기존의 가격제한폭 ±15%±30%로 확대 적용했다.


    지난 10일까지 약 1개월 간 시행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상·하한가 종목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한가 종목수가 대폭 줄었다.


    일평균 상한가 종목은 코스피의 경우 6.4개에서 7.0개로 늘어났고, 코스닥은 12.3개에서 3.7개로 줄었다. 합쳐서는 18.7개에서 10.7개로 감소했다. 일평균 하한가 종목도 코스피의 경우 0.8개에서 0.2개로, 코스닥은 3.3개에서 0.2개로 줄었다. 전체적으로 4.1개에서 0.4개로 감소했다.


    한국거래소 측은 “가격제한폭 확대로 정보반영 효율성 및 균형가격 발견기능이 제고되고, 시장역동성이 증대됐다”고 분석했다.



    또 주가 급등락 위험으로 시장참여가 감소할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개인투자자의 거래비중이 상승하고, 거래대금도 증가했다.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일평균 거래대금은 이전보다 18.0% 증가한 105000억원을 기록했다. 개인투자자의 거래비중도 57.4%(코스닥 87.8%)로 확대됐다.


    가격 안정화에도 기여했다.


    가격제한폭 확대 이후 정적 및 동적 변동성완화장치가 일평균 각각 127.2(코스닥 118.1), 72.6(코스닥 58.2) 발동됐다. 이에 따라 가격 변동률은 각각 0.5%p(코스닥 0.3%p), 2.0%p(코스닥 1.6%p) 완화됐다.


    하루 중 지수변동성은 시행 초반에는 이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그리스 사태와 중국 증시 급락 이후에는 다소 확대된 것으로 집계됐다.